초등1학년입니다 2학기는 어느정도해야하나요
초딩1학년2학기는
국어 수학은 어느정도 할줄알게 진도를맞춰줘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면 수학은 두자리수덧샘정도는 몇분안에해야해요~
국어는 어느단어까진 쓸줄알아야해요..
식으로알려주시면감사드리겠습니다
기타 발달정도도 알려주시면더감사합니디ㅣ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1학년이라면
학업에스트레스주기보다는 아이가어느정도놀고탐색하도록하는것이좋을수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 1학년 2학기에는 국어와 수학에서 중요한 학습 목표가 있습니다. 국어에서는 다양한 글을 읽고 주요 내용을 이해하며, 기본 단어를 300개를알고 있어야 합니다. 수학에서는 두 자리 수의 덧셈과 뺄셈을 1분 이내에 해결하고, 기본 도형을 인식하며 길이 측정과 시간 개념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또한 사회성 발달 측면에서는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며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 진도는 아이들마다 전부 다릅니다. 선행학습을
미리 한 경우 2학년의 학업을 준비하는 아이들도 있으나 이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선행학습의 경우 아이들이 수업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적절히 조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학년 2학기 정도라면 한자리수 더하기 빼기와 받침없는
한글을 읽고 쓰는 정도의 학업 정도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개별적인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학교진도보다 느리게 나가지 않도록 해주세요.
받아쓰기연습, 덧셈뺄셈 그리고 글 읽기를 자연스럽게 하는지(이것을 못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체크해주시고 부족한 부분은 가정에서 도와주세요.
책을 소리내어 읽기가 저학년에게는 가장 좋은 국어공부입니다. 아이가 잘 읽는다면 책에 대한 내용과 느낀점을 함께 말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사고력 확장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들의 능력은 천차만별입니다.
모두 개인차가 있고 아이들 기분에 따라 문제푸는 시간과 국어 단어 등이 달라지요.
어느정도 해야 한다. 몇분에 문제 풀어야 한다는 없어요.
아이의 능력으로 푸는거에요.
아이의 수준에 맞게 차근차근 풀어가다보면 요령도 생기고 생각하고 받아들이는 힘이 생겨 글쓰기도 잘할꺼구요.
하지만 아이들 능력에 따라 다르겠지만 요즘엔 아이들이 1학기 정도 빠르게 선행을 많이 하다보니
아이들이 본인의 학년 수업을 쉽게 하는 경우도 많이 있더라구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느정도까지기준이두는지에따라서 학업은다릅니다
보편기준은 초등학교1학년에 최소 한자리곱셈 덧뺄셈정도충분하하는아이도있고 단어는 어느정도라고 말하지않아도 스스로대부분단어를다쓸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선은 EBS 교재와 방송을 보면서 미리 예습 복습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학교 문구점에 가시면 초등학교 1학년 2학기 문제집 및 학습지를 구매하셔서 예습 복습을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어나 수학은 2학기 교재를 미리 공부해 놓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국어는 1학기와 달리 문장 받아쓰기를 하므로, 받아쓰기 연습을 해 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은 방학동안 다음 학기의 선행 학습을 한답니다
서점에서 2학기 학습지를 구매해서 하루에 두 세장 정도씩만 선행을 해도 충분히 2학기 학교 생활에 쉽게 적응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방학 동안이라도 매일 책을 한권씩 읽게 하는 것도 문해력과, 이해력을 돕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백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국어와 수학을 어느 정도까지 해야 한다라고 딱히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아이의 이해 및 학습 능력 정도에 따라 진도를 나가주세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1학기 때 배운 내용을
잘 복습하고 이해만 하면 문제가 없어요
그러니까 복습위주로 해주시고 2학기 진도에
너무 부담 느끼지 않으셔도 되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정말 학습이라는 것 자체가 기준이 없습니다.
아이가 해당 학기의 교육과정을 잘 이해하고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큰 문제는 없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