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주담대 고정금리로 갈지 변동금리로 갈지 고민입니다.

최근 주택담보 대출 금리가 고정은 3% 대 후반, 변동은 3%대 초반 수준이라는데요 내집마련을 고려하는 입장에서 20년이상 대출을 안고갈경우 뭐가 더 유리한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정금리는 장기 안정성, 변도우금리는 단기 저금리 상황에서 유리합니다. 금리 상승가능성이 크다면 고정, 하락이 예상되면 변동이 좋은 선택이나, 장기 대출일수록 고정금리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주담대는 어차피 5년 고정 변동금리를 적용하게 될 것입니다

    • 이는 지금을 기준으로 5년간은 고정금리이고 그 뒤에 바뀐 금리를 적용한다는 개념입니다

    • 따라서 현재의 변동금리를 고민할 필요 없이 은행에서는 지금 당장의 고정금리를

      제시할 전망입니다.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무조건 변동금리가 좋다고 봅니다.

    추후에 금리가 오르면(엄청 많이 오르지 않는 이상) 그때 또 최저 금리를 찾아 대출 갈아타기를 하면 어찌되었던 고정 금리보다는 낮은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년 이상 장기 주택담보대출이라면, 시장 금리 변동에 따라 부담이 커질 수 있어 고정금리가 비교적 안전합니다. 고정금리 초기에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지만, 긴 기간 확실한 상환 계획을 세울 수 있어 예산 관리에 용이합니다. 장기적으로 금리 인상 위험을 피하고 안정성을 추구한다면 고정금리가 유리한 선택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상황에서 경기 흐름이 어떻게 될지 당장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이자 수준이 적절한 수준이라고 판단하신다면 안정적인 고정금리가 유리할 수 있으며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이나 단기 이자 부담을 줄이고자 하면 변동금리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현재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20년정도시라면 현재는 변동이 낫습니다.

    일단 금리는 점차 낮아질것입니다.

    경기둔화와 더뷸어 소비도 급감하며 부동산규제로인하여 더욱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큽니다.

    그렇기에 결과적으로 회복시기가 오면 대출완화와함께 시중금리도 낮아질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 고정금리가 크게 낮지 않는한 현재로는 변동이 나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부분은 3~5년 혼합형 형태의 고정금리일경우 3%대 후반으로 나오실겁니다 10년이상이나 그리고 전기간 고정대출금리는 훨씬 높습니다 10년 고정일 경우 1%정도 더 높게 나오며 전기간일경우 이보다 더 높습니다.

    물론 현재는 중립금리가 앞으로도 높아질것으로 보이나 전기간 고정금리는 리스크가 매우 큽니다 그리고 시장금리에 대해서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히여 혼합형이 더 낫다고 보입니다 3~5년 단기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다가 이후 상황을 봐서 은행과 재협상으로 금리를 다시 설정하거나 혹은 앞으로 금리가 더욱 가파르게 상승할것으로 보인다면 10년고정금리후 재협상하는형태의 혼합형 대출 구조가 가장 좋다고 판단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변동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이런 경우 앞으로 금리 전망을 어떻게 하고 계신지에 따라서 다를 것입니다.

    저는 고정 금리로 가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물가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이 되며 기준 금리가 쉽게 내려오지 못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금리를 가지고 고민중이시라고 한다면, 일단 미국 연준의 금리변동을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단 연준의 경우 2025년 하반기의 금리를 인하할 계획이라고 년초에 밝혓찌만, 이러한 것은 제대로 실현이 될지는 현재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그 가능성이 반반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러한 인플레이션 상황에 금리를 인하하게 된다면 인플레이션의 속도가 올라가는 만큼 위험성이 크지요. 따라서 금리를 인하할 것 같으면 변동금리, 금리가 상승할 것 같다고 한다면 고정금리로 적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주담대 금리가 낮아진 편이긴 한데요. 물론, 올해중 기준금리 인하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겠으나, 20년 이상 대출을 가져가야한다면 고정금리가 더 나은 선택지일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