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웃으면 왜 힘이빠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웃긴장면 이나 재미있는걸 보고 큰소리로

웃을때 힘빠진다는 말을 하자나요

또 배른 잡고 쓰러지기도하고

왜 힘이 빠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느긋한칼새269
      느긋한칼새269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웃음은 우리 신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왜 웃으면 힘이 빠지는 것처럼 느껴지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설명은 웃음이 우리 신체를 즉각적으로 이완시켜, 근육의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입니다. 웃을 때, 호흡량이 증가하고 근육들이 이완되면서 혈압과 심박수가 일시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생리적인 반응은 피로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그렇다고 해서 웃음 자체가 힘든 상황에서 무조건적으로 힘이 빠지게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다른 이론으로는 웃음은 우리 뇌가 주는 신호에 따라 힘이 빠지는 것처럼 느껴지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즉, 우리 뇌가 “이 상황은 안전하고 즐거운 상황이다”는 신호를 받았을 때, 우리는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힘이 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 뇌가 “이 상황은 위험하다”는 신호를 받았을 때는, 힘이 빠지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웃음이 우리 신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지만, 왜 웃으면 힘이 빠지는 것처럼 느껴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한 답변이 없습니다. 이는 개인의 신체적인 상태나 주변 환경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웃음은 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스트레스를 줄이고 기분을 좋게 하며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웃음으로 인해 힘이 빠지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으로, 웃으면서 심박수와 호흡량이 증가하고 근육이 긴장되기 때문입니다.

      웃음으로 인해 심박수와 호흡량이 증가하면서, 혈액순환과 호흡기관 기능이 개선되어 산소와 영양분이 더 많이 공급됩니다. 이것은 웃음으로 인해 몸이 활발하게 움직이며 근육이 긴장되는 것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웃을 때 몸이 긴장되면서 에너지가 소비되기 때문에, 웃은 후에는 일시적으로 힘이 빠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Cataplexy — Cataplexy is emotionally-triggered transient muscle weakness. Most episodes are triggered by strong, generally positive emotions such as laughter, joking, or excitement [98]. Episodes may also be triggered by anger or grief in some individuals. Cataplexy develops within three to five years of the onset of sleepiness in 60 percent of people with narcolepsy [92].

      탈력발작: 탈력발작은 감정적으로 유발되는 일과성의(잠깐 있다가 없어지는) 근력 약화이다. 대부분의 에피소드는 웃음, 농담, 들뜸과 같은 강한 긍정적 감정에 의해 유발된다. 어떤 사람들에게서는 분노나 슬픔에 의해서 유발되기도 한다. 탈력발작은 기면증 환자의 60%에서 졸음의 발현 이후 3-5년 이내에 생긴다.

      The muscle weakness is often partial, affecting the face, neck, and knees. In both partial and generalized attacks, cataplexy almost always begins in the face, manifesting as ptosis and a slack, hypotonic face with an open mouth and interruption of smiling or other facial expression [99]. Severe episodes can induce bilateral weakness or paralysis, causing the patient to collapse [98]. Sometimes, the weakness can have an atypical appearance with persistent generalized weakness plus facial grimacing, tremor, or tongue protrusion, especially in children [100,101]. Consciousness remains intact during cataplexy, and the weakness usually resolves in less than two minutes [102,103].

      근력 약화는 얼굴, 목, 무릎과 같이 한정된 부분에 국한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부분적 또는 전신적 탈력발작의 대부분에서 얼굴에서 증상이 시작되어 안검하수나 slack (얼굴에 힘이 빠져 입이 벌어지고 웃음이나 다른 표정을 짓지 못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심한 에피소드에서는 양측성 근력 약화 또는 마비로 인해 환자가 쓰러지기도 한다. 어떤 경우에는 전신적 근력약화에 더해 얼굴 찡그림, 떨림, 혀 내밀기 등의 비전형적 양상을 나타내는데, 이는 어린이에서 두드러진다. 탈력발작 에피소드 동안 의식은 유지되며, 2분 안에 정상으로 돌아온다.

      [출처] 크게 웃으면 갑자기 손에 힘이 빠지는 증상?|작성자 오오바 요조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웃음은 우리 뇌를 자극하는 활동입니다. 웃음은 우리 뇌에 쾌감을 주며, 이로 인해 피로한 상태를 푸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오랜 시간동안 웃게되면, 뇌가 지치고 피로해지면서 힘이 빠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적으로 웃는건 매우 좋습니다. 건강에 도움이 되는 호르몬이 많이 분비가 되기 때문입니다. 웃을 경우는데 몸의 전체 근육을 순식간에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많은 체력 소모가 있습니다..아주 많이 길게 웃었을 경우에는 달리기 한것과 비슷하게 체력 소모가 될 정도입니다. ^^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오래 크게 웃으면 생각보다 복근에 힘이 많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많이 웃으면 복근부에 힘이 많이 들어가서 피로가 쌓이게 됩니다.

      복근은 몸에 몸통으로 팔과 다리 움직이는데 관연하는데요. 이런 복근이 피로가 쌓이고 팔다리를 고정하는 복부근육이 움직이기 힘들어져서 몸에 힘이 빠진다고 합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