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정책이라는게 무엇이며 언제 시행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종단정책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그리고 종단정책은 언제 시행되었으며
종단정책의 효과는 어떤게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케이프타운과 카이로를 철도와 전선(電線)으로 연결하려던 영국 제국주의의 정책.
케이프 식민지 수상이던 C.J.로즈가 1880년대에 추진한 식민지 확대정책이다. 전선 가설이나 철도의 부설은 거기에 필요한 토지의 영유가 당연한 전제로 되어 있어 케이프 식민지로부터 이집트까지를 영국식민지로 삼겠다는 제국주의적 야심을 표명한 것이다.
로즈가 창설한 ‘영국 남아프리카회사’는 그 야심을 실현할 목적으로 짐바브웨 ·잠비아 등을 영유하였으나 영국 본토에서는 자유무역론이 우세하여 로즈의 영토적 야심과는 반대 정책이 취해졌다. 보어인과 영국과의 사이에 일어난 남아프리카전쟁은 로즈의 북진정책이 원인이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결과 케이프타운과 카이로는 영국 식민지만을 통과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종단철로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아프리카종단정책 [─縱斷政策]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프리카 종단 정책(Cape-to-Cairo Project) : 19세기말 열강들의 아프리카 분할 당시 영국이 취한 정책. 영국이 자국의 식민지 내지는 세력권을 통해 대륙을 종단하여, 케이프타운과 카이로를 철도로 연결하려는 계획이다. 1876년경 비로소 발표된 이 계획은 1880년대 후반부터 실행의 기운이 높아져 1890년대 중반에 이르러는 중부 아프리카의 로디지아, 동아프리카 및 우간다가 정복·확보되고 또 에드워드 호수로부터 탕가니카 호수에 이르는 회랑 지대의 영구 조차권이 획득되었다. 한편 1896년 키처너 장군은 본국 정부의 명에 따라 보호 하에 있는 이집트에서 수단에 이르는 철도를 부설하며 남하함으로써, 파쇼다 사건이 일어났으나 프랑스의 양보로 이집트, 수단은 영국의 세력권이 되었으며 그 위에 보어 전쟁의 수행으로 종단 정책은 일단 완성되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 말 제국주의 시대에 아프리카 대륙을 이집트에서 남아프리카까지 남북으로 연결하려 한 영국의 식민화정책입니다.
즉 케이프타운과 카이로를 철도와 전선으로 연결하려던 영국 제국주의 정책을 말합니다.
케이프 식민지 수상이던 C.J.로즈가 1880년대에 추진했으며 전선 가설이나 철도의 부설은 거기에 필요한 토지의 영유가 당연히 전제로 되어 있어 케이프 식민지로부터 이집트까지를 영국식민지로 삼겠다는 제국주의적 야심을 표명한 것으로
로즈가 창설한 영국 남아프리카회사는 그 야심을 실현할 목적으로 짐바브웨, 잠비아 등을 영유하였으나 영국 본토에서는 자유무역론이 우세하여 로즈의 영토적 야심과 반대 정책이 취해졌습니다.
보어인과 영국과의 사이에 일어난 남아프리카 전쟁은 로즈의 북진정책이 원인이 되고 제1차 세계대전 결과 케이프타운과 카이로는 영국 식민지만을 통과하는 형태로 연결되어 종단철로는 실현되지 못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는 1830년 오스만 제국령이었던 알제리를 점령하고 1881년에는 튀니지를 보호령으로 만들었다. 프랑스는 알제리와 튀니지를 중심으로 팽창주의 정책을 실시하여 아프리카 분할을 가속화한다.
프랑스는 사하라 사막으로 진출하여 서아프리카 지역을 점점 식민지로 만들고 1894년 수단과 지부티를 점령하게 되자, 서아프리카 식민지와 인도차이나와 남태평양 일대에 있는 프랑스의 식민지를 연결하고 영국과 이탈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홍해로 진출하려고 하였다. 프랑스 식민제국이 추진한 아프리카 횡단 정책은 여기에서 말미암았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