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단정책이라고 하는 것은 무슨 정책인가요?
안녕하세요.
횡단정책이라고 하는건 무슨 정책인가요?
횡단정책이 나오게 된 시기는 언제이며
횡단정책의 효과는 어떠했나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 식민제국이 추진한 세계 정책의 일환으로 아프리카 대륙 횡단을 통해 홍해로 진출하기 위한 프랑스의 정책입니다.
프랑스는 1830년 오스만 제국령이었던 알제리를 점령, 1881년 튀니지를 보호령으로 만들었고 프랑스는 알제리와 튀니지를 중심으로 팽창주의 정책을 실시해 아프리카 분할을 가속화 합니다.
프랑스는 사하라 사막으로 진출해 서아프리카 지역을 점점 식민지로 만들고 1894년 수단과 지부티를 점령하게 되자 서아프리카 식민지와 인도차이나와 남태평양 일대에 있는 프랑스의 식민지를 연결하고 영국과 이탈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홍해로 진출하려 합니다.
그런데 프랑스의 아프리카 횡단정책은 영국이 추진하고 있던 종단정책과 충돌하는데 프랑스의 횡단정책과 영국의 종단 정책이 교차하는 곳이 바로 북아프리카 수단 남부 파쇼다 지역이었고 1898년 프랑스가 파쇼다 지역에 국기를 게양하자 영국이 이에 항희하며 프랑스와 충돌, 당시 군사적으로 영국에게 불리했던 프랑스는 결국 한발 물러서서 철수합니다.
이로써 프랑스의 횡단 정책은 물거품이 되고 영국에 대한 프랑스의 감정의 골은 더 깊어지나 이후 독일 빌헬름 2세 팽창정책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두 국가는 1904년 영프협상을 통해 화해, 국제 문제에 있어 서로 공동보조를 취하기로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 프랑스의 대 아프리카 정책입니다
아프리카 횡단을 통해 홍해로의 진출을 구상했다.프랑스는 알제리와 마다가스카르를 이어내는 횡단 정책을 열었고. 프랑스는 알제리 점령(1830), 튀니지의 보호국화(1831), 이집트와 수단으로의 진출시도, 아프리카 횡단철도 건설 등의 과정을 통해 아프리카 횡단 정책을 시도
이에 반해 아프리카를 종단하려는 영국의 종단정책과 정면으로 충돌한것이 파쇼다 사건입니다
프랑스가 이내 먼저 파쇼다에 도착하여 자국의 국기를 개양하자 영국이 철수를 명령하였고, 이 사건이 파쇼다 사건이다. 그러나 이내 프랑스의 양보로 손쉽게 해결되었습니다
간단히 말해 프랑스는 아프리카 대륙식민지를 좌에서 우로(횡단) 점령하고 영국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남아공으로연결되는 수직(종단)선상 점령게획을 추진한것을 말합니다
파쇼다 사건(Fashoda: 현재 남수단의 Kodok)1898년 7월 영국과 프랑스간의 동아프리카식민지 확보경쟁의 절정을 이루었던 사건 아프리카 대륙을놓고 열강들의 횡단정책과 종단정책의 충돌입니다
사건개요
프랑스 장밥티스트 마르샹대위가 1898년7월 파쇼다에 도착해 프랑스국기를 게양했다. 이 소식을 들은 영국의 키치너는 급히 파쇼다로 와서 마르샹에게 철수를 요구했다. 그러나 마르샹 대위가 이를 거절함으로써 한동안 긴장 상태가 계속됐다.
결국 이 문제는 영국과 프랑스의 본국 정부로 넘어갔다. 1899년양국 사이에 타협이 이루어지고, 긴장됐던 양국 간 관계는 이로 인해 가까워져서 1904년에는 영불 화친협정을 맺게 되어 마무리된것입니다
프랑스가 먼저 점령했지만 프랑스가 양보한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 식민제국이 추진한 세계 정책의 일환이다. 아프리카 대륙 횡단을 통해 홍해로 진출하기 위한 프랑스의 정책입니다.상세
프랑스는 1830년 오스만 제국령이었던 알제리를 점령하고 1881년에는 튀니지를 보호령으로 만들었다. 프랑스는 알제리와 튀니지를 중심으로 팽창주의 정책을 실시하여 아프리카 분할을 가속화한다.
프랑스는 사하라 사막으로 진출하여 서아프리카 지역을 점점 식민지로 만들고 1894년 수단과 지부티를 점령하게 되자, 서아프리카 식민지와 인도차이나와 남태평양 일대에 있는 프랑스의 식민지를 연결하고 영국과 이탈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홍해로 진출하려고 하였다. 프랑스 식민제국이 추진한 아프리카 횡단 정책은 여기에서 말미암았다.
그런데 프랑스의 아프리카 횡단 정책은 영국이 추진하고 있었던 종단 정책과 충돌하게 되었는데, 프랑스의 횡단 정책과 영국의 종단 정책이 교차하는 곳이 바로 북아프리카 수단 남부 파쇼다 지역(오늘날 남수단 지역)이었다. 1898년, 프랑스가 파쇼다 지역에 국기를 게양하자 영국이 여기에 항의하며 프랑스와 충돌하였고 이렇게 발생한 사건이 바로 파쇼다 사건이었다. 당시 군사적으로 영국에게 불리했던 프랑스는 결국 한발 물러서서 철수했다.
이로써 프랑스의 횡단 정책은 물거품이 되었고 영국에 대한 프랑스의 감정의 골은 더욱 깊어졌다. 그러나 이후 독일 빌헬름 2세의 팽창 정책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두 국가는 1904년 영프협상을 통해 화해했으며 국제문제에 있어 서로 공동보조를 취하기로 했다.출처: 나무위키 횡단 정책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세기 때 프랑스 식민제국이 추진한 정책 입니다.
아프리카 대륙 횡단을 통해 홍해로 진출하기 위한 프랑스의 정책 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프랑스 식민제국이 추진한 아프리카 대륙 횡단을 통해 홍해로 진출하기 위해 정책입니다.
1830년 프랑스는 알제리를 점령하고 튀지니를 보호령으로 만들며 팽창을 가속화합니다.
사하라로 진출하여 서아프리카지역을 식민지로 만들고 수단과 지부티를 점령하면서 홍해로 진출하려고 추진한 정책입니다.
이 정책과 맞물려 영국의 종단정책과 교차하면서 1898년 수단지역에서 파쇼다 사건이 발생합니다.
영국과 충돌하면서 철수하게 되고, 프랑스 횡단정책은 물거품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횡단정책은 19세기 프랑스의 대 아프리카 정책인데, 아프리카 횡단을 통해 홍해로의 진출을 구상한 전략입니다. 이는 아프리카 대륙의 서단(西端) 케이프베르데로부터 동단에 가까운 지부티까지 철도를 가설하려고 한 프랑스 제국주의의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