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호국 불교는 무엇인가요? 언제 전래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호국불교는 무엇인가요?

무슨시대에 호국불교가 전래되기 시작했으며

그 당시에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국 불교 사상(護國佛敎思想) 또는 호국 사상(護國思想)은 진호국가(鎭護國家), 즉 불교의 교법(敎法)으로 난리와 외세를 진압하고 나라를 지킨다는 불교 사상으로 다른 불교 국가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은 중국.태국 군불교 및 한국 특유의 불교 사상이다.

    4세기경 삼국 시대에 불교가 최초로 중국을 통해 전래되었을 때,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삼국에서 불교는 모두 선인선과(善因善果)의 인과를 가르치는 새로운 종교로서뿐만 아니라 새로운 주술(呪術)로도 여겨져 토속 신앙인 무속 신앙과 융합되어 무속 신앙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또한 고대 국가 건설의 정신적인 기둥의 역할을 하는 호국 사상의 성격을 띄었다. 한국 불교에서 호국 불교 사상이 본격적으로 형성된 것은 신라에 불교가 토착화되면서부터이다. 신라의 불국토 사상은 호국 불교 사상과 결부되어 삼국 통일의 밑거름이 되었다.

    호국 불교 사상은 신라 시대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고려 시대의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판각 사업, 임진왜란 때의 승병의 활동, 3·1 운동 때 민족대표 33인 중 백용성(白龍城) · 한용운(韓龍雲)의 두 고승이 참여한 것 등은 모두 호국 불교 사상이 한국 불교에서 면면히 이어져 온 것을 보여준다.

    출처: wikiwand 호국 불교 사상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불교는 초창기 삼국 시대 부터 호국 불교의 성격을 가졌습니다. 호국불교란 '나라를 지키는 불교', 내지는 '국가를 위한 불교'리고 정의될 수 있는데요. 이러한 호국불교는 우리나라 불교문화의 중요한 특징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비근한 예로 임진 왜란 당시에 사명 대사 유정 스님과 서산 대사 휴정 스님이 의병을 일으킨 것이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라를 보호하는 불교이며, 우리나라의 독특한 특징입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전쟁이 많았고, 외부의 침략에 의해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외침으로 인해 고통 받는 백성들을 그냥 보고만 있는 것은 바른 태도가 아니라고 해서 스님들이 나라가 위태로울 때 함께 적을 물리쳤는데 이를 호국 불교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국불교는 불교는

    불교 신앙으로 국가를 보전하고 보호한다는 불교 이념을 말합니다.

    한국불교는 수용 당시부터 국가불교 성격으로 유입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유입된 시기는 삼국이 정립하던 4~5세기 경입니다.

    호국불교의 특징은 신라의 법흥왕에 이어 진흥왕이 왕권 확립과

    국토확장에 힘쓰면서 불교의 국가 종교화 운동을 통해 민심을 수습하고

    지배 질서를 확립하려는 정책적인 결단에서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이어 고려 불교가 호국불교의 숭봉 이념을

    국가적으로 체계화한 데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외적의 침입이 잦았기때문에 외적의침입을 부터님의 법력으로 퇴치하고자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고려의 불교는 호국불교적 성격이 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