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떠있는 구름의 색깔은 어떻게 결정되는 건가요?
우리가 살고있는 지구에는 참 아름다운게 많죠. 그중에서 저는 하늘이라고 생각합니다.
가슴이 답답하거나 뭔가 힘들때 하늘을 바라보면 스트레스나 우울한 감정들이 좀 사그라들곤 하는데요. 이렇게 하늘위에 떠있는 구름들을 보면 색깔들이 비슷한듯 하지만 참 다양합니다. 구름들의 색깔은 어떻게 결정되어 보여지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높이와 물방울의 크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구름의 높이가 낮을수록, 물방울의 크기가 작을수록 구름은 하얗게 보입니다. 구름의 높이가 높을수록, 물방울의 크기가 클수록 구름은 밝은 색을 띠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적란운은 구름의 높이가 낮고, 물방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하얗게 보입니다. 반면, 뭉게구름은 구름의 높이가 높고, 물방울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밝은 색을 띠게 됩니다.구름의 색깔은 또한 태양의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태양이 하늘 높이 있을 때는 구름이 하얗게 보이지만,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이 있을 때는 구름이 붉게 보입니다. 이는 태양빛이 지구 대기권을 통과하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푸른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태양이 지평선에 가까이 있을 때는 푸른색 빛이 적게 남아서 붉은색 빛이 더 많이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실저ㆍ이유는 구름의 높이와 빛의 파장에 따라 다르게 반사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높이와 두께, 태양의 위치와 강도, 대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의 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색깔이라면 흰색과 검은색 사이의 농담 정도로 표현할 수 있는데..ㅇ
이렇게 흰구름과 옅은 먹구름, 짙은 먹구름, 아예 검정 구름등..다양한 농담을 가진 구름들이 있는데..그 이유는?
주로 태양 빛이 구름과 대기 내의 미립자들과 상호 작용하는 결과로서 형성되며,구름의 색깔은 구름의 종류, 높이, 태양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태양 빛은 구름과 대기 내의 미립자들과 상호 작용하면서 산란과 흡수되는데...이런 과정에서 색깔의 농담이 달라지고, 빛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퍼져 나간답니다.
우선, 구름의 종류에 따라 색깔이 변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높은 고층 구름은 빛을 파장별로 분산시켜 매우 밝은 흰색 빛을
만들어내고, 낮은 낮층 구름은 태양 빛을 더 많이 흡수하여 회색이나 어두운 색깔로 보일 수 있답니다.
요즘은 오존의 농도에 따라서도 색깔이 변할 수 있는데요..
오존은 파란색과 보라색의 빛을 흡수하는 경향이 있어서 하늘이 오존이 많을 때 더 빨갛게 빛날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