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23.01.14

우리나라 성씨의 개념은 언제부터 시작 되었나요?

우리나라에는 원래 성씨의 개념이 없었고 무슨마을 개똥이, 소똥이 이런 형식으로 불렸다고 하는데 언제부터 성씨의 개념이 형성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씨의 개념은 삼국시대 부터 였습니다

    이름만 부르다 중국의 영향으로 성씨가 붙여젔으며 처음엔 귀족들만 사용하다

    평민들에까지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씨는 출생의 혈통을 나타내거나 한 혈통을 잇는 겨레붙이를 가리키는 가족용어로 한사람의 혈연관계를 분류하는 기준이 되며, 이르과 결합하여 사회성원으로서의 개인을 남과 구별하는 구실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중국식 성씨제도를 수용하여 고려시대에 정착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한 뒤인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성을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 등을 성으로 삼았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 때부터 본격적인 한국 성씨의 역사가 시작된다. 본관이 처음으로 도입되고 중국 식의 한 글자로 된 단성이 본격적으로 유행하여 '본관 + 단성'의 형태가 주류가 됐다고 합니다. 특히 1055년 고려 문종 9년에도 아직 성씨가 없는 귀족 층이 많았는데 성씨 사용을 추진하기 위해 성씨가 없는 사람은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는 봉미제도(封彌制度)가 시행되었다고 합니다 . 봉미제도가 시작되고 나서부터 모든 귀족층들은 중국 성씨를 빌려다가 족보를 만들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