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폭군의 세프라는 드라마를 보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요.
역사서에 폭군이라 하면, 뭐뭐 군으로 끝나는 왕들이던데.. 그당시에 불린것인지.. 훗날 조선시대가 저물고.. 근대사회에 들어서면서.. 왕뒷자리에 군을 붙여서.. 폭군으로 명시한것인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권 전문가입니다.
폭군이 모두 군으로 불린 것은 아닙니다. 정확하게 이야기 하자면, 왕의 자리에서 폐위된 왕들을 당시에 격하하여 "~군"으로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조선시대의 왕은 왕으로 즉위하면서 명칭이 붙는게 아닌, 죽고 나서 그 명칭을 정합니다. 흔히 알고 있는 태조/세종/세조 같은 것들은 모두 죽고 나서 붙는 "묘호"입니다. 즉 왕으로 끝까지 즉위를 하여야 묘호를 추서하고, 그 이름으로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됩니다.
연산군/광해군과 같이 00군으로 붙는 건, 중간에 왕에서 폐위됨으로써 묘호가 붙지 않고 격하되었기 때문에 군으로써 기록되게 됩니다.
조선시대 폭군으로 불리는 대표적 군주는 연산군과 광해군으로 제대로 묘호로 받지 못하고 '군'이라는 칭호를 받았습니다. 군은 본래 왕자나 지방 군주에게 부여된 칭호입니다.
예를 들어 연산군은 폭정을 일삼아 신하와 백성들에게 미움을 받아 폐위되었고, 묘호 대신 '군' 칭호만 남겼습니다. 당시 ‘조·종’으로 끝나는 묘호를 받는 것은 이상적인 왕에 대한 존칭이었고, 반면 폭군으로 낙인찍힌 인물들은 왕으로 정식 인정받지 못해 군으로 불린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