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재빠른꽃새209
재빠른꽃새20923.07.24

금리 인상이나 인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요즘 금리가 예전보다 많이 높은데 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미국의 금리 인상이 우리경제에 언떤 영향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각 국의 중앙은행이 금리의 인상과 인하를 하는 이유는 경기상태와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서 입니다.

    경기가 과열 국면으로 진입하는 경우 물가 또한 강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통제하기 위해서 돈의 가치인 금리를 인상함으로 사람들의 소비와 대출의 양을 조절하고자 합니다.

    반면에 경기가 침체 국면에 진입을 하면, 사람들의 소비와 기업의 투자를 자극하기 위해서 금리를 인하를 실시합니다.

    또한 외국 자본이 이탈하는 경우에 환율이 크게 훼손되여 자국기에 혼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금리를 인상하므로서 외국자본이 국내 시장에 유지가 되도록 금리를 인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하는 경우에, 한국 또한 금리 인상을 통해서 환율이 안정적으로 유지 되도록 합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환율 방어보다, 경기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판단하에 미국이 인상을 하더라도 동결하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이나 인하의 이유는 다양하며 아래 3가지로 크게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인플레이션 조절

    2. 경기 부양

    3. 환율 조절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 조정을 통해 시중에 화폐유통량을 조정하여 경제에 반영을 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하여 경기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금리가 낮으면 돈을 빌리기가 쉬워져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지만 너무 과하면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물가를 낮추기 위해 금리를 올리는데 또 금리를 너무 올리면 소비와 투자가 감소해 실업률이 상승해 경제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국의 중앙은행은 경제상황에 맞게 금리를 올리거나 낮춤으로써 경기를 조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경제상황과 정책적 이유로 금리인상과 인하를 진행합니다. 현재 경기가 침체되어 있어 경기 부양의 목적이라면 인하를 통해 경제활성화를 추진하고, 현재 경기가 과열되어 있거나 물가상승률이 높을 경우에는 금리 인상을 통해 물가상승률을 관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 인상 인하를 하는 이유는 시중에 돈의 흐름을 조정하여 경제를 안정화하려는 것입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과도한 유동성을 흡수하여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금리 인상은 예금금리를 높이고 대출금리를 높이는 효과가 있어 예금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이 저축을 하게 되고, 대출금리가 높아지면 사람들이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경제의 성장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이 억제됩니다.


    금리 인하로 예금금리가 낮아지고 대출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이 저축을 줄이게 되고, 대출금리가 낮아지면 사람들이 소비를 늘리게 됩니다. 이로 인해 경제의 성장이 촉진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됩니다.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국 달러의 가치가 상승하고 한국 원화의 가치가 하락합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 있어 현재 금리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물가 때문입니다. 전세계 물가가 현재 상승하기 때문에 금리를 높여서 물가잡고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면 가계나기업이 은행에 빌린 이자비용이 올라가서 소비를 위축시켜 물가를 잡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를 인상이나 인하하는 이유는 물가와 성장율의 현 상황을 판단하여 인상할지 인하할지를 결정합니다 ! 공급물가의 상승으로 미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들이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인상을 작년부터 시작했습니당!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매년 8번 기준금리를 결정하는데 이때 동결을 하여도 되고 내리거나 올리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미국이 금리를 더 인상하게 되면 우리나라와 금리차이가 더욱 벌어지기 때문에 돈의 흐름이 국내에서

      외국으로 흐르게 되어 상대적으로 환율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올라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를 통하여 경제국면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거나 경기가 과열되면 금리인상,

    경기가 침체되면 금리인하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 사이클에 따라 너무 과열되는 경우 금리를 인상하고 침체되는 경우 금리를 인하하여 바람직한 경제 상황을 만들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