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1212사태가 무슨 사건을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제 생일이 12월 12일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친구들이 1212사태라고 맨날 말하는데 이게 무슨 날인가요?

사태라는게 어떤 사건이 벌어졌다는 것 같은데 무슨일이 있었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노태우 등이 주동하고 군부내 사조직인 하나회가 중심이 되어 신군부 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으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당시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불법으로 강제 연행하는 등의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1979년 10.26사선을 계기로 하여 정승화 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에 취임,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은 정승화가 김재규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10.26사건 수사에 비협조적이라고 하여 정승화를 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강제 연행하는데 이 일련의 사건에 관여한 사람은 9사단장 노태우를 비롯하여 국방부 군수차관보 유학성, 1군단장 황영시, 수도군단장 차규헌, 20사단장 박준병, 1공수여단장 박희도, 3공수여단장 최세창, 5공수여단장 장기오,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 보안사 인사처장 허삼수, 육군본부 범죄수사단장 우경윤 등입니다.

    한편, 정승화 총장의 신변안전에 책임이 있는 특전사령관 정병주, 수경사령관 장태완, 육군본부 헌병감 김진기는 보안사 비서실장 허화평에게 유인되어 연희동 요정의 연회에 참석중이었습니다.

    당시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의 강제 연행은 당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없이 진행되었고 사후 재가를 받기 위해 신군부 세력은 최규하에게 강압적으로 정승화 총장 연행의 재가를 요청하나 거절당했고 이에 맞서 신군부 세력은 국방장관 노재현을 체포, 노재현에게 대통령을 설득하도록 합니다. 대통령 최규하는 13일 정승화의 연행을 재가, 이후 신군부 세력은 제5공화국의 핵심세력으로 등장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신군부 세력은 권력의 요직을 차지하게 되었고,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전국확대를 실기, 국가권력을 탈취하며 5.18광주민주화운동이 시작됩니다.

    그 후로 12.12사태의 진상은 비밀로 묻혀있다가 김영삼 정부가 사실규명에 나서 사법적 심판에서 하극상에 의한 군사 쿠데타로 규정, 쿠데타의 주역인 전두환, 노태우는 구속되며 그 후 김영삼 정부는 그들을 특별 사면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2.12 사태는 군사반란으로 1979년 12월 12일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인 하나회의 멤버 전두환이 주도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제 공화국의 실질적인 시작이 되는 사건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2·12사태는 10·26 사태 이후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인 하나회의 멤버 전두환이 주도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입니다. 즉, 박정희에 이어 다른 군인들(전두환, 노태우)이 정권을 잡는 사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9년 12월 12일에 일어난 사건으로, 대한민국 육군 내 불법 사조직인 하나회의 멤버 전두환이 주도하여 일으킨 군사 쿠데타로 제5공화국의 실질적인 시작이 되는 사건 입니다.

    사건이 발생한 이래로 문민정부 시기까진 주로 12.12 사태 내지 12.12 사건으로 불렸으나 김영삼의 역사바로세우기 사업을 거치며 반정부 군사 쿠데타(내란)로 재정의되어 공식적으로 12.12 군사반란이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212사태는 2020년 12월 12일에 발생한 사건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이 사태는 한국의 주요 온라인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에서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을 지칭합니다.


    1212사태는 디시인사이드 내에서 진행된 대규모 유료 광고 차단 운동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커뮤니티의 일부 사용자들이 광고가 디시인사이드의 사용성을 저해한다고 여겨서, 유료 광고를 보여주는 서비스인 디시인사이드 파워링크를 차단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차단 운동은 빠르게 확산되어 디시인사이드의 광고 수익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212사태는 그 이후에도 확대되었습니다. 디시인사이드 운영진은 차단 운동을 비난하고, 차단을 우회하려는 시도를 막기 위해 서비스 정책을 수정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은 더욱 고조되었고, 디시인사이드 내부에서는 운영진에 대한 비판과 사용자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1212사태는 한국 인터넷 공간에서 큰 이슈가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디시인사이드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의 운영 방식과 사용자들의 권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사태는 한국의 인터넷 문화와 온라인 커뮤니티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사례로 언급됩니다.

  •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ㆍ노태우 등이 주동하고 군부내 사조직인 하나회가 중심이 되어 신군부 세력이 일으킨 군사반란으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 없이 당시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불법으로 강제 연행하는 등의 사건이 일어났다.


    김재규가 대통령 박정희를 살해한 1979년 10ㆍ26사건을 계기로 하여 정승화 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에 취임한다. 전두환 등 신군부 세력은 정승화가 김재규로부터 돈을 받았다고 주장하고, 10ㆍ26사건 수사에 비협조적이라고 하여 정승화를 보안사 서빙고 분실로 강제 연행한다. 이 일련의 사건에 관여한 사람은 9사단장 노태우를 비롯하여 국방부 군수차관보 유학성, 1군단장 황영시, 수도군단장 차규헌, 20사단장 박준병, 1공수여단장 박희도, 3공수여단장 최세창, 5공수여단장 장기오, 보안사 대공처장 이학봉, 보안사 인사처장 허삼수, 육군본부 범죄수사단장 우경윤 등이다.


    한편, 정승화 총장의 신변안전에 책임이 있는 특전사령관 정병주, 수경사령관 장태완, 육군본부 헌병감 김진기는 보안사 비서실장 허화평에게 유인되어 연희동 요정의 연회에 참석 중이었다.


    당시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의 강제 연행은 당시 최규하 대통령의 재가(裁可)없이 진행되었고, 사후 재가를 받기 위하여 신군부 세력은 최규하에게 강압적으로 정승화 총장 연행의 재가를 요청하나 거절당한다. 이에 맞서 신군부 세력은 국방장관 노재현을 체포하여 노재현에게 대통령을 설득하도록 한다. 마침내 대통령 최규하는 13일 정승화의 연행을 재가하였고, 이후 신군부 세력은 제5공화국의 핵심세력으로 등장한다.


    대부분의 신군부 세력은 권력의 요직을 차지한다. 즉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에 이희성 중장, 수도경비사령관에 노태우 소장, 특전사령관에 정호용 소장이 임명되고, 그 외에 유병현ㆍ황영시ㆍ김복동ㆍ유학성ㆍ박준병 등은 군의 요직을 차지한다. 그리고 마침내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전국확대를 실시하여 국가권력을 탈취한다. 그 다음날 ‘5ㆍ18광주민주화운동’이 시작된다.


    그 후로 12ㆍ12사태의 진상은 비밀로 묻혀 있다가, 김영삼 정부가 사실규명에 나서 사법적 심판에서 ‘하극상에 의한 군사쿠데타’로 규정되고 쿠데타의 주역인 전두환ㆍ노태우는 구속된다. 그 후 김영삼정부는 전두환ㆍ노태우를 특별사면 한다.

    출처 : 21세기 정치학대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