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는 어떻게 계산해서 나오는 거에요?
CPI는 조사대상 품목이 있습니다. 400여개가 넘고 이거를 가격 조사해서 가중치로 계산합니다. PPI는 어떤 방식으로 계산하지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는 1910년부터 시작되었으며 라스파이레스(Laspeyres)방식으로 한국은행에서 생산자가 출하한 공장도 가격을 조사하여 작성하고 발표한다. 대상범위가 광범위하여 일반적인 물가수준의 변동을 측정할 수 있고 상품의 전반적인 수급동향을 파악, 경기동향 판단지표 및 디플레이터 등으로 이용됩니다.
상품과 서비스의 2개 부분으로 나누어지며 농림수산품, 광산품, 공산품, 전력ㆍ수도ㆍ도시가스, 운수, 통신, 금융, 부동산, 리스ㆍ임대, 광고, 전문서비스, 기타 서비스 등 12개 대분류로 편성된다. 상품과 서비스는 월 1회, 농림수산품은 월 3회 조사하며, 지수 작성에 이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단계의 가격, 즉 국내생산품의 경우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생산자 판매가격(공장도 가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5년마다 경제구조 변화를 고려하여 개편됩니다.
조사대상 품목은 개별품목의 국내거래액이 상품의 경우 모집단거래액의 1/10000 (459억 원) 이상, 서비스의 경우 1/2000(956억 원) 이상 거래비중을 갖고 동종 품목의 가격변동을 대표할 수 있는 품목으로 선정하며, 조사대상 품목의 경제적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둔다. 2012년을 기준으로 조사대상 품목 수는 884개(상품 부문 801개, 서비스 부문 83개)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PI는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로서,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PI는 선택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조사하고, 가중 평균을 계산하여 생산자물가지수를 도출합니다.
이를 통해 경제 학자, 정책 결정자, 기업들은 물가 동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PI는 생산자들이 국내 시장에 공급하는 품목들을 조사한 다음 전체 경제에 차지하는 중요도를 고려해서 물가지수를 산출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