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이가 혼자서 두 역할을 맡아 혼잣말하며 놀 때, 부모는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들이 상상 속 친구를 만들어 1인2역을 하며 혼잣말로 노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모는 어떻게 반응하는 것이 좋을까요? 또한, 이런 행동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닌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상상 속 친구를 만들어 1인2역을 하며 혼잣말로 노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발달의 일부입니다. 이러한 상상력 놀이를 통해 아이는 사회적 기술, 언어 능력, 창의성 등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며 역할을 바꾸는 것은 자아 인식과 감정 표현을 도와주며,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유익합니다. 부모는 이러한 놀이를 지지하고 격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가 이야기를 나누거나 상상 속 친구와 대화하는 모습을 보고 "그 친구랑 재미있게 놀고 있구나!" 혹은 "너의 이야기가 정말 창의적이야!"와 같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면, 아이는 자신감을 얻고 상상력 놀이를 더 즐겁게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이가 혼자만의 세계에 지나치게 몰두하거나, 상상 속 친구가 실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문제가 될 경우에는 부드럽게 현실과 상상의 구분을 가르쳐 줄 필요가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아이의 상상력은 정상적이고 건강한 발달의 일부이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혼자놀이를 하는 것은 아이의 상상력 및 창의력 발달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아이가 혼자 놀이를 하는 시간이 많다 라고 한다면 사회성 발달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기 때문에 혼자놀이를 하는 시간을 오래 가지게 하긴 보다는 부모와 함께 하는 놀이, 친구의 놀이의 참여 해서 놀이하는 시간을 자주 갖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해주는 시간을 가져주면 좋을 것 같구요.

    친구와 놀이 시간, 부모와 함께 놀이 하는 시간, 혼자놀이 시간을 각각 정해서 아이가 놀이를 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혼자 있거나 혼자 놀이는 하는 것은 정서적으로 좋지 못하기 때문에 부모님은 아이에게 재미있는 놀이를

    하네 하면서 자연스럽게 끼어 들어 함께 놀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1인2역을 하는 건 함께 놀고 싶으나 놀수 있는 사람이 없다고 생각 되어 자기만의 방법으로 하는 놀이이다 보니

    좋은 놀이 방법이라고 할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들은 주로 혼자서 두 역할을 맡으며 상상 놀이를 하곤 합니다.

    문제될 부분은 없으며,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두 역할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연습을 할 수 있습니다.

    인형이나 장난감을 이용해서 놀면 더 자연스럽게 놀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