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환율이 미쳤는데 왜 그런건가요?
환율 검색해보니 1409원이더라구요??
이 정도면 심각한거 아닌가요..??
대체 무슨 일이 있기에 이렇게 환율이 오르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환율의 미친듯한 상승은 결국 원화의 가치가 하락한 것이라고 볼 수 이씁니다. 이러한 원화의 가치는 하락은 민생회복 지원금 등의 복지에 많은 자금을 쓰니 시장에 돈이 많이 흘러들어와서 원화의 가치가 하락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달러의 가치는 그대로인데 원화의 가치가 하락해서 상대적으로 달러의 가치가 상승한 환율 상승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지금 환율이 오른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미국에서 3,500억 달러를 현금으로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환율이 오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다시 1400원대로 올라간 이유는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된 가운데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한 영향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이와 함께 한미 통상협상 불확실성도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3500억달러 문제라고 보시면 됩니다 9월 들어서면서부터 미국이 갑자기 3500억달러를 그냥 현금으로 내놓으라고 하였고 이를 전량 현금으로 내놓게 되면 한국은 바로 환율폭등과 외환보유고가 고갈되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런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현재 진행중이라서 이런 불확실로 지속적으로 환율이 올라가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얼마전에는 미국에서 기준금리 연속적으로 인하는 어렵다며 파월의장이 언급했고 지금의 물가우려가 너무 가파르고 다시금 올라가는 현상에 경계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10년물 금리가 다시금 올라가면서 환율이 다시금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달러 강세 글로벌 불확실성, 외국인 자금 유출이 맞물린 결과입니다. 원유, 에너지 수입 부담과 지정학적 리스크도 원화 약세 압력으로 작용합니다. 일시적 급등일 수 있으나 1400원대 유지자체는 시장 불안 심리를 반영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작년엔 1500원 언저리까지 원달러 환율이 오르기도 했습니다 최근 환율 상승이 아주 우려할 정도는 아니고 1400원 전후면 그냥 뉴트럴한 환율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래 우리나라 경기가 안좋으니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인한 원화가치가 하락한게 1400원 돌파의 원인이 아닐까 싶구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환율 1400원을 넘어간 건 달러 강세가 워낙 강하게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이 금리를 오래 유지하면서 전 세계 자금이 달러로 몰리는 흐름이 커졌습니다. 제 생각에는 우리나라 무역수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 같아요. 수출은 회복세라지만 에너지 수입이 여전히 많다 보니 달러 수요가 꾸준히 발생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