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수입물가가 하락하게 된 것은 어떤 이유가 가장 크나요?
15일 발표된 미국의 수입물가가
6개월만에 하락세로 나타났는데
트럼프가 관세전쟁을 시작한 이후에도
이러한 결과치가 나온 이유는 무엇인가요?
관세정책이 시행되기전에
미리 대량으로 수입을 하여
가격적인 면에서 더 저렴한 가격에
수입할 수 있어인지
트럼프로 인해 수입량이 줄어서
총량의 하락이 영향을 준 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 유가의 하락은 수입 물가 하락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미국은 유가 변동에 따라 수입 물가가 크게 변동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발생했던 공급망 병목 현상이 완화되면서 수입 물가가 안정화되었습니다. 미국 수입 물가 하락에는 중국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중국의 대규모 가격 하락이 미국 수입 물가 하락에 영향을 준것으로 판단됩니다. 미국 달러의 상대적 강세 또한 수익 물가 하락의 요인 중 하나입니다. 관세 정책은 수입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최근 수입 물가 하락은 주로 위에서 언급한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수입물가 하락세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것이라는 전망또한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수입물가 하락은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영향이고,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반영되기 전 조사이기에 아직 반영되진 않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 3월 미국의 수입물가는 예상치 못하게 0.1% 하락했습니다. 이는 주로 에너지 제품, 특히 원유 가격의 하락에 기인합니다. 국제 유가가 13% 이상 떨어지면서 수입 에너지 비용이 감소했고, 이는 전체 수입물가의 하락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트럼프 대통령의 새로운 관세 정책이 시행되기 전 발생한 것으로, 일시적인 인플레이션 완화 효과를 나타냅니다 .
주의사항 및 한계 안내: 수입물가의 하락은 단기적인 현상일 수 있으며, 향후 관세 정책의 영향으로 다시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지표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므로 단일 요인으로 해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해당 조사가 관세전쟁을 시작한 4.2일 이후에 조사된 결과이며, 미국에서 원유생산량을 늘려 원유가격 하락이 물가상승을 커버하지 않았을까 추측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의 수입물가가 하락세를 보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미국의 수입물가가 6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선 것의 가장 큰 이유는
유가의 약세 영향으로 인해서
수입물가 전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수입물가 하락은 에너지 가격 하락과 달러 강세로 인한 수입단가 감소가 주요 원인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이 관세 부과 전 대량 수입을 해 가격 안정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회복과 중국 등 수출국의 가격 조정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국 수입량보다는 환율과 에너지 가격 등 외부요인의 영향이 더 컸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