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봉래산제일봉
봉래산제일봉22.07.22

결혼식 장례식의 경조금에 관한 질문입니다.

유교적인 풍습이 아직 남아있는 우리나라는 관혼상제를 중시하잖아요. 요즘 결혼식과 장례식 참석이 많은데 경조금을 어느정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돈이 물론 중요한건 아니지만 아무래도 현실적인 문제인지라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덕망있는불독137입니다.

    축의금 조의금 기준이 없다보니 난감합니다

    서로 마주치면 불편한것 같다하면 3만원 성의표시만 하고 조금 알고 지내면(메일에 수신자나참조자 )직장에서는 5만원선이고 어느정도 친분감이 있다 싶으면(식사 같이 한정도) 10만원 정말 친하다 싶으면(서로 집왕래가 있음)20만원입니다


  • 안녕하세요. 뉴아트입니다.

    친분과 관계에 따라서 금액이 달라집니다

    최근에는 물가 상승의 이유로 3만원은 거의 안하는 추세이긴 합니다

    최소 5만원부터 10만원정도가 보편적으로 많이하는 금액입니다

    친분의 정도가 깊다면 더 많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스마트한고슴도치132입니다.

    친분에 따라 경조사비가 달라지는데요.

    예전에는 간간히 3만원도 했지만 요즘은 기본이 5만원이 된 것 같아요.

    기본을 5만원이라고 생각하시고 친분에 따라 10만원, 20만원 이런식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메리골드입니다.

    기준은 따로 있다기보다 자기가 상대방을 생각해서

    친하다 안친하다 기준을 잡고 금액도 그 다음으로 생각하면 될 것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굳센망둥어297입니다.

    경조금은 딱 정해진 기준이 없다보니 난감할 때가 많습니다.


    보통은 형식적인 관계라면 5만원 정도로 성의 표시만 하고 친한관계이거나 친인척이라면 금액의 단위가 커지는데요.


    경조사가 많아지는 시기에는 부담이 크게 다가오는 만큼 기준을 정하는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지인은 모든경조사비를 10만원으로 통일했는데 스트레스를 덜받는다고 하니 좋은 방법중 하나라고 생각되네요.



  • 안녕하세요. 마스크 착용입니다.

    회사 직원 경조사로 단체로 낼땐 3~5 만원. 친구 및 친척 은 10 만원,절친이거나 가까운 친척은 20만원,형제간 결혼식엔 50 만원 정도가 적당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새침한상사조124입니다.

    보통 10만원 미만은 홀수로 3, 5만원 이렇게 하는데 요즘은 3만원은 많이 없어진것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