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내과

러블리한숲새69
러블리한숲새69

고양이털 의해 기관지염이 생길경우 호흡기바이러스에 걸릴 수 있나요?

나이
1
성별
여성

고양이털 자체만으로 기관지염이 생길순 없지만 알레르기로 인하여 기관지염이 생길경우엔 호흡기바이러스검사시에 바이러스가 검출이 안될까요? 또한 기관지염이 침이나 기침으로 전염된다고 알려져있는데 알레르기에 의한 기관지염은 전염성이 없을까요?

아기가 기관지염으로 입원했는데 어린이집 다니기전에는 단순감기만 걸렸지 폐렴,기관지염까지 간적이 없는데 어린이집에 가고난후로 한달전엔 폐렴(리노바이러스에 의한) 이번엔 기관지염에 걸렸는데 남편이 고양이때문에 그런건 아니냐해서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고양이 털로 인해 기관지염이 발생할 수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군요. 고양이 털 자체가 직접적으로 기관지염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고양이 털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호흡기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알레르기 반응이 기관지염을 초래할 수 있기도 하죠. 그러나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기관지염은 전염성이 없습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여부는 증상과 별개로 이루어지는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에 의한 기관지염의 경우, 바이러스성 검사 결과는 음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이러스성 기관지염과는 다른 발생 원인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검사를 통해 감염 유무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아이의 경우, 어린이집에 다니기 시작한 후에 감염 기회가 더 많아져 폐렴이나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들이 많은 공간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 때문인데요, 이러한 변화가 고양이와 관련이 없다면 고양이 때문에 아기가 아프다고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시고, 면역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충분한 휴식과 영양 섭취, 손 씻기 등 위생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알레르기 항원과 바이러스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고양이 등 애완 동물 털이나 집먼지 진드기에 의한 알레르기성 기관지염에

    의한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나오지는 않습니다. 말 그대로 고양이나 동물

    혹은 사람의 입이나 코 안에 RSV 등 바이러스가 있는 경우, 이것이 재채기

    혹은 기침을 통해 비말 상태로 공기를 통해 다른 사람의 코나 입으로 들어가서

    기관지로 들어가는 경우, 바이러스성 기관지염을 유발하게 됩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고양이 털 자체로는 기관지염을 유발하기 어렵지만, 알레르기 반응으로 인한 기관지염은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기관지염은 감염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침이나 기침으로 전염되지 않습니다. 아기의 경우 어린이집에서 다양한 감염원에 노출되면서 폐렴이나 기관지염에 걸릴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아이의 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의심된다면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