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23.07.01

중국 톈안먼 사건은 무엇인가요?

1989년 중국에서 발생한 톈안먼 사건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이 사건이 일어나게된 시대적 배경과 사건 이후 역사적 결과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01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톈안먼 사건이 무엇인지 궁금하군요.

    1989년 6월 3~4일 중국 톈안먼 광장에서 학생과 시민의 민주화 시위를 중국 덩샤오핑 정부가 무력으로 진압함으로써 빚어진 유혈 사태입니다. 톈안먼 사건 이후 자오쯔양 중국 공산당 서기는 민주화 운동을 지지했다는 이유로 공직에서 물러나고 장쩌민이 총서기로 당선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9년 4월 당시 급진 개혁주의로자이자 학생들로부터 추앙을 받던 후야오방 전 당 총서기가 사망, 이를 계기로 베이징 대학을 중심으로 보수파에 대한 비난 등 정치개혁에 대한 요구들이 확산되었고 우야오방의 장례식을 계기로 그의 명예 회복을 요구하는 대학생들이 집회를 갖기 시작하였고 여기에 일반 시민이 가세해 민주화운동으로 확산되었고 이후 민주화 요구 시위는 전국적으로 확대, 톈안먼에서는 지식인, 노동자, 일반 시민 등 100만 여명이 연일 대대적인 집회를 개최합니다.

    연일 대대적인 집회가 계속되자 당내 보수파는 이를 체제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 베이징일원에 계엄령을 선포합니다.

    6월4일 새벽 톈안먼 광장에서 무기한 농성을 벌이던 학생, 시민들에 대한 무력진압을 전개, 이과정에서 1만 5000명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최악의 유혈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사태 이후 열린 제 13기 4중전회에서 자오쯔양 총서기는 민주화 시위를 지지해 당을 분열시켰다는 이유로 총서기와 중앙군사위 제 1부주석 등 모든 공직에서 해임, 장쩌민 상해시 당서기장이 총서기로 선출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정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89년 6월 4일, 중국의 베이징시의 중앙에 있는 천안문(天安門 : 텐안먼) 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한 학생과 시민들을 중국정부가 무력으로 진압하여, 유혈사태를 일으킨 정치적 참극.

    중국에서는 개혁ㆍ개방정책이 시작되면서 민주화 요구가 높아졌는데 그것이 물가고에 의한 시민의 불만과 합치하여 불온한 기운이 높아져 학생을 중심으로 천안문 광장에서 민주화 요구의 단식투쟁 등이 이루어졌다. 이것에 대해 정부는 강력한 태도를 보여 4일 새벽에 해산에 응하지 않는 군중에 대해 전차, 장갑차를 투입하여 무차별적으로 최루가스와 실탄을 사용하여 제압함으로써 다수의 부상자가 나왔다. 군중도 전차를 불태우는 등 격렬하게 저항하여 병사들 중에도 사상자가 속출하는 유혈사태가 발생했다. 때마침 고르바초프의 방중의 취재로 체재하고 있던 각국 기자단에 의한 생생한 TV 중계로 전세계가 충격을 받아 중국정부에 대한 국제적인 비난이 높았다.

    그러나 중국의 당ㆍ정부는 사건 직후 이 민주화요구를 ‘반혁명 폭동’으로 규정하고 참가한 학생과 지식인들 다수를 체포하여 탄압하였다. 또한 관계자의 추궁을 위해 자수와 밀고가 장려되었다. 이 때문에 운동지도자의 대부분은 국외로 피신하고 재외 유학생은 귀국을 거부하였으며, 파리에서는 ‘민주중국진선(民主中國陣線)’(嚴家其 ; 옌자치 주석)이라는 반체제조직이 결성되었고, 민주화운동의 상징적 존재였던 천체물리학자인 方勵之 부부는 미국대사관에 의해 보호되었다. 중국지도부중 운동에 호의적이었던 조자양(趙紫陽 ; 자오쯔양) 당 총서기는 정치적 책임을 물어 실각되고 강택민(江澤民 ; 장쩌민) 상해시 당서기가 총서기로 선출되었다.

    이것에 대해 서방측 각국은 중국정부를 신랄하게 비난하고 특히 미국정부는 정부고관에 의한 접촉의 금지, 군 관계자의 교류정지, 무기와 고도기술의 수출금지 등의 제재조치를 발동하여 체포자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또한 7월에 파리에서 열린 선진국정상회의에서도 중국을 비난하는 결의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각국의 견해가 각각 다르고, 특히 강경하게 보였던 미국도 그후 부시 대통령의 보좌관(국가안전보장 담당)을 대사로서 사건의 다음 달과 동년 12월에 베이징에 비밀리에 파견한 것이 밝혀지게 되자 점차 타협적으로 바뀌었다. 특히 일본정부가 중국을 고립시키기 않도록 각국에 공작한 결과 각국의 제재조치도 점차 완화되었으며 미국도 최혜국대우에 대해서 무조건으로 연장을 인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