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무인 카페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던데 알바생들 일자리 영향이 클까요?

동네에 하나 둘 씩 무인카페가 점점 늘어나던데요, 이제 산책로를 쭉 돌다보면 근처에 무인카페가 심심치 않게 보이더라고요. 키오스크로 주문하고 QR코드로 결제하는 시스템이 이제는 낯설지가 않은데 그럼 알바하던 학생분들은 어디서 일하게 되는걸지 걱정도 되더라고요. 제가 대학생 시절에도 알바자리 찾기가 참 쉽지 않았는데 요새는 인건비 부담을 줄이려고 사장님들이 무인화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24시간 운영이 가능하고 인건비 걱정없이 저렴한 가격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은 분명히 있어요. 하지만 커피머신 고장이나 청소, 재료보충은 결국 누군가 해야 하잖아요? 완전무인은 아니더라도 기존 3명이 하던 일을 1명이 하게 되면, 고용감소는 피할 수 없을 것 같아요.

서비스업 일자리가 줄어들면 청년 취업시장은 더 어려워질텐데, 이를 보완할 새로운 직업군이 생길까요? 아니면 정부가 기본소득 같은 사회안전망을 강화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무인 카페와 아르바이트 생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무인 카페가 늘어나게 되면

    관련되어서 일할 자리가 사라지고

    아르바이트 생들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동일한 시장이라고 보기 힘듭니다 무인카페는 우선 브랜드 입지력이 탁월한곳이 없습니다 이는 브랜드가치가 매우 중요한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수요가 한정되어있습니다

    거기다가 가격이나 퀄리티측면에서도 저가커피 브랜드보다 경쟁열위에 있습니다 즉 상대적으로 수요가 다른 시장이며 매출성장률이나 이익성장률도 유의미하지 않습니다

    즉 무인카페가 시장을 장악하거나 대중적인 침투로 알바생들에게 영향을 준다고 보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무인카페 확산으로 서비스업 일자리, 특히 청년 알바생의 고용이 감소하고 있는 사실입니다.

    키오스크와 QR코드 결제 시스템으로 24시간 운영과 인건비 절감이 가능하지만, 커피머신 유지보수, 청소, 재료 보충 등 최소 인력은 필요하고 결국 기존 3명 일자리가 1명으로 줄며 고용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이를 보완하려면 디지털 전환 관련 직업(예: 키오스크 유지보수, 무인 시스템 관리) 교육을 강화하고, 사회안전망으로 기본소득이나 재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야 할 것이고 정부는 청년층의 기술 교육과 지역 일자리 창출에 투자해 균형을 맞춰야 할 것입니다.

    무엇보다 알바생들의 특정 일자리 선호에 벗어나 자신의 실력을 향상 시키고, 조금 힘들고 어렵겠지만 사회적 경험을 쌓을 있는 일자리의 선택도 중요하다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