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등원거부 하는 아이 왜그럴까요?
어린이집 엄청 좋아하고 잘 가고 너무 좋아하던 아이인데요..
어느순간부터 어린이집 안갈려고하고
아침마다 전쟁이네요....
왜그러는지 모르겠어서 답답합니다.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어린이 집을 아주 재미있게 다니다가도 다니기 싫다고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는 아무래도 그날의 컨디션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것으로 생각듭니다. 이렇게 되면 아이들의 컨디션을 잘 챙겨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하지만 이게 아니고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그럴 수 있기 때문에 아이를 잘 관찰해주시고 선생님과도 상담을 잘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들을 위해서는 관심을 많이 주셔야 되겟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특정한 이유 없이 등원 거부를 시작한 경우, 우선적으로 아이의 정서적 상태나 변화에 주목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에서의 어떤 경험이 불안감을 유발했거나, 새로운 친구가 생기거나 이전의 친구와의 관계에서 변화가 생긴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가정에서의 변화,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의 변화나 일상의 변화도 아이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아침마다 힘든 상황이 이어진다면, 아이와 대화를 통해 그 이유를 직접적으로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느끼는 감정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공감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어린이집에 가기 전에 안정적인 루틴을 만들어주고, 가기 전에 작은 보상을 제안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등원 거부는 여러 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불안, 친구와의 갈등 등이 문제 원인일 수 있는데 아이와 대화하며 감정을 이해하고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와 어린이집에 대해 충분히 얘기해볼 필요가 있겠네요. 그리고 어린이집에서 어떤일이 있는지 선생님과도 상담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개인 별로 원인이 다양할 수 있으나, 교우관계에 의한 불편함이나 어린이집에서의 어떤 불편함에 의한 것일 수 있으니 다각도로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함께 부드러운 분위기 속에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세요
친구 과의 갈등이나 수업 시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갑자기 등원 거부를 한다는 것은
갑자기 환경 변화가 생겼을 확률이 높습니다.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고 공감하고 이해해 주세요
선생님과 소통하여 원인을 파악할 수 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보육교사입니다.
어린이집 엄청 좋아하고 잘 가고 너무 좋아하던 아이인데요..
어느순간부터 어린이집 안갈려고하고
아침마다 전쟁이네요....
왜그러는지 모르겠어서 답답합니다.
이럴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어린이집을 잘 다니다가 안간다고 떼를 쓸떼는 연휴동안 집에서 엄마와 지내고 다시가야 할때 주로 그런경우가 있을것입니다.
가정에서 편하게 지내다가 규칙적인 생활을 해야 하는 어린이집이 싫어져서 그런것인데요~
요때는 담임 선생님과 상담하셔서 조금 더 신경 써 달라고 부탁드려
보세요.
잘 타일러 보내고 나면 또래친구들도 있고 재미있는 프로그램도 있기 때문에 언제 그랬냐는듯 다시 즐겁게 잘 다닐꺼예요...^^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무래도 갑자기 등원을 거부하는건 분리불안이나 안정감을 찾고싶은 마음에 그러는거같습니다 부모님의 긍정적인 모습으로 잘 위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