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풍성한가재131
풍성한가재131

가스가 많이 나와요 정말 왜그런걸까요?

밥을 먹으면 진짜 너무 힘들정도로 가스가 많이차서 많이 내뿜습니다.

요즘에는 배가 더부룩하면서 배가 빵빵해지는 느낌까지 들어서 이제 너무 힘들어지는데

이런것들을 개선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영 의사입니다.

      배에 가스가 차는 이유는 대부분 먹는 습관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양배추, 브로콜리와 같은 섬유소 풍부한 채소를 한 번에 많이 섭취하는 경우에도 배에 가스가 차기 쉬워집니다. 과식은 위장에 부담을 주어 소화시간을 길게 하고 복부팽만을 유발합니다. 이와 같은 섭취습관을 피하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정상적으로 장내에서는 리터단위로 가스가 생각하고 장점막으로 흡수가 되기도 하지만 우리가 인지하거나 인지하지 않는 경우에도 항문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집니다. 다만 기름진음식이나 소화가 덜된 영양소가 장내에 많이 머무를 경우 가스가 더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가스가 지나가며 장이 늘어나면 통증을 느낄수 있습니다.

      30분이상의 걷기운동이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좋은 방법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덕 의사입니다.

      가스는 공기를 마셔서 배에 가스가 모이는 경우가 있구요.

      음식이 가스로 바뀌는 경우도 있습니다.

      공기를 삼키는 것은 카페인에 의해 호흡이 빨라지는 경우도 있구요.

      그러니까 커피나 초콜릿 등에 의해 호흡이 빨라지기도 합니다.

      빈혈이나 갑상선 질환 등에 의해서도 호흡이 빨라지기도 합니다.

      음식이 가스로 바뀌는 경우는 장에 나쁜 세균들이

      음식을 가스로 발효 또는 부패시키면서 가스가 차기도 합니다.

      우선은 공기를 삼키는 습관이 있는지 생각해보시고 개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그 뒤로도 개선되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보시면 더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복부 팽만은 과식하지 않았는데도 배에 가스가 가득 차서 풍선이 들어 있는 것처럼 팽창된 느낌을 말합니다. 복부 팽만이 나타나는 이유는 활동량 감소, 비만, 폭식, 과식, 기름진 식생활과 같은 잘못된 생활 습관이나 기능성 위장 장애, 과민성 대장증후군, 만성 변비 등의 질환으로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흔한 원인인 기능성 위장장애는 위장의 기질적인 원인이나 정신적인 원인이 없으면서 복부 팽만감을 호소하는 경우로 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의 절반에서 복부 팽만감을 동반합니다. 기능성 복부 팽만감은 여성에게 흔히 나타나며 완화와 악화를 반복하고 오후로 갈수록 심해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생리기간에 더 심해질수 있으며 벨트를 느슨하게 하거나 헐렁한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의의 진료 후 정확한 진단에 맞게 치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식이 조절, 심리적 치료, 약물 치료 등을 해볼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하루 30분~1시간 정도 걷기와 같은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시고, 유제품과 식이섬유 섭취량을 늘이시기 바랍니다. 또한 수분섭취도 매우 중요합니다. 잘 관리하셔서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가스가 많이 나오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화기내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방귀가 자주 나오는 것은 대장에 문제가 있어서라기 보다는 가스를 많이 만들어 내는 음식을 드셔서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로 자극적이거나 기름진 음식을 많이 드셔서 그렇지요. 음식 조절을 먼저 해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