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9.27

조선시대의 왕의 식사 시간은 언제 였나요?

지금은 아침, 점심, 저녁으로 3번의 식사를 하는데요~

이렇게 식사를 하다 보니, 사람들은 식사를 3번 하는 것이 정답인 거처럼

생각이 드는데,

과거 조선시대의 왕의 식사 시간은 다르다고 하던데,

조선시대의 왕의 식사 시간은 어떠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들은 아침 5시 기상해 문안인사를 드린 후 6시에 초조반을 먹었고, 9시쯤 아침식사를 했는데 이를 조수라 라고 합니다.

    오전 업무를 끝내고 점심 간식을 먹었는데 조선시대 보통 하루 2끼만 먹었으므로 왕도 점심에 수라상이 아니라 면 요리나 만두 등의 간단한 음식을 먹었고 이를 낮것상이라 합니다.

    또 이후 공부를 하다 참이라 불리는 간식을 먹었고, 5시 이후 야간 숙직자를 확인하고 저녁 식사인 석수라를 먹었으며, 9시쯤 야참이라는 간식을 먹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7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의 하루 일과를 확인해보면

    아침식사(조수라): 9시~10시

    점심식사(낮것상): 11시~13시

    저녁식사(석수라): 18~19시

    아침, 저녁은 1시간

    점심은 2시간이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 에는 아침 과 저녁만 있었지 사실 점심 이라는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아침 저녁은 배불리 먹고 점심은 간식 형태로 먹었다고 합니다. 조선시대의 임금은 하루에 총 5번의 수라를 받았다고 합니다. 이 중 12첩 정식은 오전 10시와 오후 5시의 두 번이며, 이를 전후로 하여 아침은 초조 반상(혹은 일어난 자리에서 바로 먹음을 뜻하는 자릿 조반), 점심은 낮것 상, 밤에는 야참이라 하여 국수나 미음, 약식 등 간단한 상을 먹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왕조실록에도 식사 시간은 구체적인 기록이 없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마 식사시간이 딱 어느때다 이렇게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그렇지 않을까 추측됩니다.

    일반적으로 조선사람의 생활패턴 자체가 해와 함께 하기 때문에 일출 후 아침, 정오에 점심, 해질 무렵에 저녁일 것입니다만, 다양한 행사로 인해 그때마다 바뀌었을것으로 추측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