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2차접종후 6개월경과시 미접종자의 차이가 궁금해요?

백신 접종 항체력지속기간이 보통 3개월정도 간다고

하셨는데 2차 접종 후 6개월 경과되면 항체가 거의

없어질까요?

이때 미접종자와의 차이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6개월이 경과된다고 항체가 거의 없어지거나 하는 것은 아니고, 상대적으로 줄어들 뿐이며 완벽한 코로나 19 면역이 얻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추가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미접종자의 경우는 아예 코로나 19에 대한 면역이 없는 것이지요.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2차 접종 이후 6개월이 지나면 백신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화이자사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현재 6개월 단위로 추가접종을 시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미접종자의 경우 체내 항체가 아예 없는 것이며 기존의 접종자의 경우 어느정도 수준으로는 존재하나 코로나에 대한 완전한 면역을 위한 수준에는 못미치는 상태이므로 이는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기존 바이러스에서 2차접종완료시  돌파감염자 비율은 10만명당

      교차접종 12.6명 < 화이자 25.9명 < 아스트라제네카 87명 < 얀센 153명입니다

      이를 퍼센트로 환산하면

      교차접종0.0126% < 화이자 0.0259% < 아스트라제네카 0.087% <얀센 0.153%입니다

      돌파감염이 되더라도 항체형성으로 인해
      중증도와 치명률은 낮추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항체가 존재는 하지만

      변이바이러스에 대항할 정도의 양은 되지않기에 부스터샷을 맞아야합니다.

      부스터샷의 경우

      백신 접종 완료 3개월 이상 지난 사람들에 한하여 접종하고 있습니다.(변경됨)

      부스터샷을 맞으면 기존에 줄어들었던 항체량을 늘릴 수 있어서

      변이바이러스에도 대항 할 수 있습니다.

      https://ncvr2.kdca.go.kr/

      ○ 1차접종 미접종자 예약

      * 2차접종 예약일은 1차접종일 예약과 동시에 백신별 접종간격에 따라 자동예약됨

      - 소아청소년(12-17세) : ’21.12.31일(금) 18시까지 예약

      - 18세 이상 성인: 상시 예약(계속)

      ○ 3차(부스터)접종 예약(얀센백신은 2차(부스터)접종)

      - 접종대상 및 접종간격

      ① 60세 이상, 18-59세 기저질환자* 및 감염취약시설·의료기관 입소자·종사자: 2차접종 3개월 후 3차접종

      ② 18-59세: 2차접종 3개월 후 3차접종

      ③ 얀센백신 접종자 또는 면역저하자*: 기본접종(얀센 1차, 나머지 백신 2차) 완료 2개월 후 접종

      * 기저질환자 및 면역저하자의 범위는 코로나19예방접종누리집(https://ncv.kdca.go.kr) > 알림·서식 > 안내문 > “3차(부스터)접종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범위” 참조

      - 백신 종류: 화이자 또는 모더나 백신

    • 안녕하세요.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그정도 기간이 지나면 미접종자와

      면역력에 대한 차이는 없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추가접종을 하는 이유는 기존에 백신이 

      6개월 정도만 항체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는 항체의 양이 급격하게 떨어져서 

      예방효과가 많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부스터샷(추가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추가접종을 하는 이유는 기존에 백신이 

      6개월 정도만 항체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후에는 항체의 양이 급격하게 떨어져서 

      예방효과가 많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부스터샷(추가접종)을 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일반적으로 6개월 정도의 

      면역기능이 있겠네요. 

      현재까지 나온 것 중에  

      가장 코로나를 예방할 수 있는 약이 백신입니다. 

      또 3개월에 맞는 이유는 항체가  

      줄어드는 시기를 아예 없애기 위해서 입니다.  

      그러나 코로나 백신에 큰 부작용이  있다면 접종은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 현재까지 통계로 보았을 때 코로나 바이러스 백신 접종 후 항체의 수명은 약 6개월 이상 지속된다고 합니다. 반대로 이야기 하면 대부분의 항체는 6개월이 경과하면 역가가 감소됩니다. 하지만 미접종자와의 결정적인 차이는 기억세포가 항원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감염될 경우 미접종자에 비해 월등하게 빠르게 반응하여 항체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코로나19 확진 후 회복하거나 백신 접종을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중화항체는 감소하며 델타변이에 효과적인 중화항체가 있더라도 오미크론 변이의 경우 중화항체가 제대로 기능을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시간이 경과하거나 새로운 변이가 등장할때마다 재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백신의 역할이 중화항체를 생성하여 감염 자체를 예방하는 것도 있지만 그와는 별개로 면역에 관계되는 세포들을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작시켜 활성화 시킴으로서 실제 감염이 일어났을 경우 빠르게 감염된 세포를 사멸시킴으로서 바이러스가 인체내에서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여 중증 진행을 막을 수 있습니다. 백신 효과 중 후자의 경우에는 변이가 있더라도 일정수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부스터 샷을 통해 중화항체 및 면역반응을 다시금 일깨움으로서 코로나19 유증상 감염 예방 및 중증진행 억제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설령 2차 접종 후 6개월이 지났더라도 백신 접종의 효과는 미접종자에 비해서는 훨씬 코로나19 감염 및 중증진행 억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백신접조응로 생기는 항체의 효과는 3개월정도가 되면 50%로 줄어들며 6개월이 지나면 항체의양이 많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하지만 면역세포에는 항체를 형성했던 기억이 남아 있기 때문에 미접종자보다 더 효과적으로 항체를 형성할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미접종자와 비교하자면 6개월이 지나셨더라도 항체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같은 감염 환경에 놓인다면 미접종자에 비해 감염 확률은 낮아질 순 있지만

      안심할만큼의 효과를 보긴 어렵기에 부스터샷 접종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현재 연구 결과에 따르면 mRNA 바이러스의 경우 접종 후 1개월이 지난 시점부터 항체 생성이 감소하여

      3개월 후 50% 미만, 5~6 개월 후 20 %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6개월이 지난 시점 부터는

      미접종자와 크게 다르지 않는 상황에 올 수 있습니다.

      이의 경우 바이러스에 대한 전파력이 다시 증가하기 때문에 오미크론 같은 우세종이 아닌 중증 사망률이

      높은 바이러스 역시 전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중증 사망과 기존의 SARS COV-2 를 전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추가 접종을 최소 6개월 간격에

      맞아야 하는 상황이며 기존에 개발되어 있는 백신의 한계로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네 항체가 거의 없어진다고 합니다.

      미접종자와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마스크 착용과 함께 개인 방역수칙을 잘지키시고 개인 위생관리에 신경써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백신접종시에 부작용은 예측은 어려우며 백신은 접종 완료 6개월 이후에 항체량이 적어짐이 보고되었으며 항체 유지 기간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으며 6개월 이후에는 추가접종이 필요로 됩니다.백신 1,2차 맞았을때 부작용이 심했던 경우 3차 접종은 의사의 진료후 접종여부를 결정하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항체가 거의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평균적으로 3~4개월 유지되나 이 시기가 지나면 모두 사라지는 것이 아닌 감소 정도가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항체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미접종자와는 차이가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방역패스상에서는 차이가 없지만

      체내 면역으로는 큰 차이가 있을 겁니다.

      우리몸은 항원에 노출 된 후에는 동일한 항원에 대한 기억이 자리 잡습니다.

      이 후에 들어온 항원에 대해서는 더 빠르고 많은 항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2차 접종 후 6개월이 경과하면 항체의 역가가 줄어들지만 접종하지 않은사람과 비교하면 예방효과가 높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2차 접종 이후 평균 항체 지속기간은 3개월이 맞으며 6개월 정도 지난다면 아마 항체가 많이 사라졌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항체가 많이 사라졌더라도 미접종자처럼 항체 자체가 없는 것은 아니므로 어느정도 감염 차단 효과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현재 코로나 백신항체의 경우는 약 6개월정도 유지가 되나, 3개월이 지나면 그 양이 확연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미접종자와의 차이점은 이미 기억세포 등이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추후에라도 백신추가접종을 맞을시 미접종자 보다는 효과가 좋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개인 면역 체계마다 백신이 유효한 기간은 차이가 있으며 현재 연구결과로는 접종후 6개월 경과시에 항체량이 감소됨이 확인이 되어 만 18세 이상의 성인은  3개월 이상 경과시 접종 가능하며 백신 패스 기간 연장을 위해 3-6개월 사이에 접종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백신을 2차까지 접종하면 항체의 최대 효과는 약 6개월 정도 유지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6개월이 지난시점에서 바로 효과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며, 서서히 감소합니다.

      다만 6개월 지나더라도 몸에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미접종자보다 바이러스에 대한 저항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접종자의 증상이 경미 할 수 잇습니다

      백신은 코로나19 항체를 사전에 미리 형성하여 면역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합니다. 실제 코로나 바이러스에 노출 되었을때 감염을 예방하는 기능을 합니다. 백신 접종후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코로나에 대한 면역력이 증가된 상태이기때문에 백신 접종자의 경우 중증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며 미접종자보다 더 경미하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민 약사입니다.

      2차 접종 후 6개월이 경과되면 항체가 거의 없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지 없어진다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부스터샷을 권고하고 있는 이유는 사람마다 항체 농도 감소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항체 농도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면에 미접종자의 경우 2차 접종과는 다르게 항체 생성이 전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코로나 감염 시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미접종자들보다 감염시 입원율 또는 사망률이 낮습니다. 다만 6개월이 경과한다면 항체의 예방 효과는 미접종자보다는 높지만 약화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2차접종 3개월 후부터 항체가 점차적으로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2차접종 6개월이 지난다면 미접종자보다는 면역력이 높겠지만 3차접종을 받은 사람보다는 낮은 수준일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차접종후 6개월이 지나면 효력이 거의 없으니 유효기간을 설정한것같습니다.

      이미 2차 접종후 6개월지나면 미접정종자 처럼 백신패스도 적용받지 못합니다. 자세한 항체 형성을 알수가 없으니 6개월이 지나가기 전에 부스터샷을 맞는거죠. 코로나가 빨리 없어지는 날이 왓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20~59세 건강한 성인에서 단일접종군 ▲아스트라제네카 동일접종군 (100명) ▲화이자 동일접종군 (100명) ▲모더나 동일접종군 (100명) ▲얀센접종군(50명) 및 교차접종군(1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2차 화이자 백신 (99명)을 대상으로 중화항체가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접종완료 후 화이자 접종군은 2차접종후 5개월까지, 아스트라제네카 및 교차접종군은 2차 접종 후 3개월 시점에도 항체가가 일정수준 유지됨을 확인했습니다.

      6개월이 경과되어도 항체는 남아있겠지만 충분치 않아 돌파감염의 위험이 더 높습니다. 항체가 조금이라도 존재한다면(백신을 접종한적 있다면) 코로나 19에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낮게 나타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