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에 투자한다는 것이 맞는 표현인가요?
코인에 투자한다는게 맞는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주식은 뭔가 실체가 있는 것 같은데 코인은 실체가 없어서 약간 달러 환전하는 느낌이 듭니다.
실체가 없는데 이런 코인을 사고 파는 것을 투자라고 할 수 있는지 여러분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표현은 달리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투자한다고 표현합니다. - 유동성이 너무 커서 이를 투기라고 표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투자와 투기를 딱 구분하는 기준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닙니다. 두 행위 모두 수익행위를 위한 활동이기 때문입니다. - 학술적으로 보면 투자는 거래 대상의 가치변화에 주목하는 것이며, 투기는 오로지 시세차익에만 목적을 두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투기는 시세차익에만 목적이 있기 때문에 불법적인 경로로 자금의 투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비트코인은 현재 존재하는 수많은 암호화폐 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신원 미상인 사토시 나카모토에 의해 2008년 10월에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이라는 제목의 9쪽짜리 논문을 통해 공개되었고, 2009년 1월 3일에 비트코인이 처음 발행(제네시스블록)되었습니다. - 15년이 안되는 역사동안 사실상 가치가 0과 다를바 없었던 비트코인의 현재 가격은 약 5만달러가 되었으며, 앞으로의 상승가치를 더 높게 보는 시각들이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 기존 화폐와 달리 정부나 중앙은행, 금융기관의 개입없이 개인간(P2P)의 빠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며, 정부가 원하면 더 찍어낼 수 있는 기성 화폐와는 달리 최대 발행량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 하지만 가치판단의 시각으로 접근한다면 단기적 투자(단타)보다는 장기적 투자의 마음을 갖고 접근하여야 하며 여유자금으로만 투자하시길 권장드립니다. - 코인을 공부하시고 싶다면 각 코인들의 백서(a white paper)를 보시면 도움이되며, 가볍게는 업비트와 같은 사이트에서 각 코인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암호화폐)의 과세는 결국 투자자에게는 부담이지만 '과세있는 곳에 세금있다'라는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제도권 편입을 위한 첫걸음이라 생각합니다. -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에 대한 과세는 2022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2023년 1월 1일로 미뤄졌습니다. - 국내 거주자라면 2023년부터 매년 가상자산을 사고팔거나 빌려줘 번 돈(기타 소득) 가운데 250만원 기본 공제를 한 뒤 나머지에 대해 20% 세금을 물어야 하고. 해외 거주자, 외국 법인이라면 거래소 등 가상자산 사업자가 세금을 원천 징수하고 당국에 일괄 납부하는 방식이 적용됩니다. - 시행 시점이 2023년으로 미뤄지면서 실제 세금을 내야 하는 시기도 1년 뒤인 2024년으로 늦춰졌습니다. 1년 치 투자 소득을 다음 해 5월 직접 신고ㆍ납부하도록 돼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투자의 대상은 사실 제한이 없습니다. 2~3년 전만해도 국내 암호화화폐 시장은 금융 당국에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였습니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다양한 파생 기술이 발달하고 해당 블록체인 사용료에 해당하는 암호화화폐의 가치도 매우 다양한 양상을 띄게 되었습니다. - 2022년부터 암호화화폐 거래를 통해 연간 250만원 이상의 차익을 시현했다면 20%의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세금을 부과한다는 것은 소득이 있다는 의미이고 소득을 인정한다는 것은 소득 원천을 법적으로 인정한다는 의미입니다. 미국 등에서 유력 암호화화폐에 대한 선물 등 파생상품이 출시되고 있고 요즘 유행하는 NFT도 암호화화폐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습니다. - 경제적 실체는 경제 주체들이 결정합니다. 암호화화폐의 실체 논쟁은 거의 끝난 것으로 봐야합니다. - 같은 논리라면 각종 파생상품의 실체 또한 허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파생상품 시장의 90% 이상이 원본 상품과 원자재에 대한 실제 인도 없이 만기일 이전에 거래가 종료됩니다. -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맞는 표현이죠 - 실체가 왜 없을까요??? - 주식이랑 코인이랑 똑같은 점도 있죠 - 그 주식이나 코인이랑 사고 싶은 사람이 많으면 가격은 올라간다. - 그리고 그 가치를 보고 투자한다. - 주식에서도 쓰레기 주식들도 많듯이 코인도 그런 코인들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재용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코인전망은... 누구도 알 수 없겠죠 ^^; - 하지만.. 이 블록체인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  - 단순히 그래프만 봐도, 악재 또는 규제로 인해 - 시장이 침체되는 경우도 있으나 장기적으로 봤을 때 - 우상향이며 해당 블록체인 기술은 4차산업의 핵심으로 - 현재 여러가지 프로젝트들이 실제 생활에 사용 될 수 있는 단계까지 근접해 있습니다. - 실제 적용되는 기술은 코인전망과 상관 없이 그 값어치를 인정 받겠죠! -  - 현재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 메인넷 플랫폼을 운영하는 이오스나 프라이빗블록체인인 리플, 아이콘 등도 있지만 - 기술적 한계 및 확장성의 문제가 있죠 그래도 계속해서 -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들이 나오고 있죠 - 여러 프로젝트들의 기술적 한계를 해결하여 실제 일상 속에서 사용 가능, 탈중앙화, 처리속도 둘 다 해결하여 모뎀 및 스마트폰으로도 노드 참여가 가능하기에 곧 이런 프로젝트들이 코인전망과 상관없이 가치를 인정 받거나 대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투자대상으로서 코인은 최근 기관이나 세계의 손꼽히는 부자들이 투자하고 있고 향후에도 기관 투자자금이 계속 유입되어 안정적으로 우상향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미국을 비롯해 세계 각국 정부가 코인에 세금을 부과하고 코인 관련 금융 상품을 허용하는 추세도 코인을 정부에서 규제하려는 것이 아닌 투자 대상으로 인식 해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