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피부과 이미지
피부과의료상담
땅콩맛있어요
땅콩맛있어요22.09.18

다리에 갑자기 두드러기 같은게 올라왔어요ㅠㅠ

나이
15
성별
여성
기저질환
기립성 저혈압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사진처럼 저런게 올라왔는데

처음엔 상처가 모기물린듯이 되어있어서

가려워서 긁었었는데 점점 퍼지더라구요

화상상처 간지러울때 발랐던 연고가 있어서

그거 바르고 괜찮아졌길래 아 이제 다 나았나보다해서 있다가 잘때 간지러워서 긁었는데 저렇게 됬습니다ㅠㅠ 저 상처가 오금쪽에 있는데 오른쪽 다리도 저 증상이랑 비슷한게 올라오고 있어요!ㅠㅠ 팔꿈치쪽에도 있구요.. 오금쪽이 부어서 다리 굽혔다 폈다 하기도 불편하고

따갑고 가려워요ㅠㅠㅠ 도와주세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피부과에서 진료를 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일차적인 피부 병변뿐만 아니라 손으로 긁은 이후 이차적인 세균 감염 가능성도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19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피부증상 때문에 걱정이시군요.

    사진만 봤을 때는 습진이나 알레르기 피부염으로 처음 병변이 생긴 후 많이 긁어서 이차적으로 피부가 변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경우 피부과에 가셔서 스테로이드 연고를 처방받아 도포를 하여 습진이나 알레르기 피부염을 조금 가라앉히고 나서 보습제나 로션을 잘 발라 관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증상이 심하시다면 먹는약이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

    피부가 가렵더라도 긁으시면 안됩니다. 긁으면 피부가 더 두꺼워지고 더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더 긁는 악순환을 하게 됩니다.

    아무리 치료를 잘 받더라도 지속적으로 긁으면 오랜기간 안나을 수도 있습니다.

    긁는대신 얼음팩으로 찜질을 하는 것이 가려움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이유가 없이 가렵다면 알레르기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는 몸의 면역반응이 특정물질에 과도하게 반응하면서 생기는 증상이기 때문에 체질이 바뀌지 않는이상 원천적인 해결이 힘듭니다.

    불편하실경우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으로 증상을 조절하게 되요.병원에서는 MAST검사라는 알레르기 검사를 해주고 있으니 검사를 해보시고 만약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있다면 접촉하는 것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두드러기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증상 발현시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원인을 회피하는 것이 근본 대응법입니다. 현재 증상이 악화되고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위해 피부과 혹은 알러지 내과에 내원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사진의 소견을 통해서 보았을 때에는 알러지성 두드러기 소견이 맞는 것 같습니다. 관련하여서는 항히스타민제 및 스테로이드제 투약을 통해서 증상을 조절해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피부과에서 진료 및 처방을 받으시길 권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호진 의사입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온도차가 심한 실내외에 들어가거나 나올 때, 따뜻한 물로 샤워해 몸이 달아 오를 때, 맵고 뜨거운 음식을 먹었을 때, 집중하거나 긴장할 때, 화가 났을 때나 당황했을 때, 그 외 갑작스런 심리적 충격이나 불안 등 물리적 정신적 원인으로 신체에 갑자기 열이 오르는 상황이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단 콜린성 두드러기가 오면 다음의 현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홍색 발적에 둘러 싸인 직경 2-4 mm의 구진성 팽진이 특징적으로, 소양감을 동반하며 2-20분 이내 빠르게 발생하며 30분-1시간 정도 지속 됩니다.

    피부 증상 외에 맥관 부종, 복통, 저혈압, 천명 등의 전신 증상이 드물게 동반 되기도 합니다.

    치료법은 항히스타민제의 사용이 보편적이며, 그 외 DANAZOL, 베타차단제 및 SCOPOLAMINE을 이용한 대중요법 들이 있으나, 일반적인 약물요법으로는 반응이 없는 콜린성 두드러기의 경우도 많아 다양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자가 땀을 이용한 급속 탈감작 치료, 성상 신경절 차단술, 오말리주맙을 이용한 항 IgE 요법 등이 새로이 시행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