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후 신부전 치료방법 관련 문의드려요
수술후 출혈, 저혈압이 발생되어 2차 수술을 하고 신부전이 발생된 경우 신부전의 원상회복을 위해서는 어떻게 치료하는 것인가요?
수술 후 출혈과 저혈압으로 인해 발생한 신부전의 치료는 원인과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신부전은 급성 신부전(acute kidney injury, AKI)와 만성 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CKD)로 나뉘는데, 수술 후 급성 신부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급성 신부전의 치료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출혈과 저혈압을 교정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이는 수액 요법을 통해 혈압을 안정화시키고, 필요 시 수혈을 통해 출혈을 보충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혈압이 안정되면 신장으로 가는 혈류를 회복할 수 있습니다.
신부전 환자에게는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도한 수분 섭취는 부종과 폐부종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이뇨제를 사용하여 소변량을 늘리고 부종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급성 신부전의 경우 일시적으로 투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투석은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전해질 균형을 맞추며, 신장이 회복될 때까지 신장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특별한 치료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적절한 수액과 이뇨제 치료를 통해 체내 적정 수분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신장이 회복되길 기다려야 합니다.
신장 기능이 회복되지 않는 경우 신장 투석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일시적일지 지속적일지는 경과를 지켜보는 방법 외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