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공손한콩중이288
공손한콩중이28823.05.06

안경을 쓰면 잘 보이는 이유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눈이 나쁘면 보통 안경을 씁니다.

안경의 어떤 원리로 인해서 잘 안 보이던 것이 잘 보이게 되는 건지 궁금합니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본다는 것은 그 물체에 반사된 빛이 우리의 눈의 수정체를 통해서 굴절되면서 망막에 상이 만들어지면서 뇌에 정보가 전달되는 것인데요. 나이가 들거나 눈에 이상이 생기면 수정체의 두께가 변하면서 막망의 상이 정확히 맺히지 않으면서 잘 안보이는 것인데요. 이러한 현상은 근시와 난시가 있는데,,, 근시는 멀리있는 물체가 잘 안보이는 것으로 수정체가 두꺼워지면서 망막 앞에 상이 맻혀서 발생되는 것으로 오목렌즈 안경을 사용해서 빛을 수정체 뒤로 굴절시켜서 상이 정확히 맺히게 하는 것입니다. 난시는 가까이 있는 물체가 잘 안보이는 것으로 수정체가 얇아 상이 망막 뒤에 맻혀서 발생되는 것으로 볼록렌즈 안경을 사용하여 빛을 수정체의 앞쪽에 굴절시키면서 상이 정확히 맺히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안경은 빛을 적절하게 굴절시켜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를 보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눈에 굴절되어 들어오는 빛의 위치나 방향 등이 일정하지 않을 때, 눈에 비친 이미지는 흐리게 보이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안경은 이러한 빛의 굴절을 보정하여 눈에 정확한 이미지를 전달해주기 때문에, 시력이 나쁜 사람들이 안경을 쓰면 더 잘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은 근시나 원시와 같은 굴절이상으로 인한 저시력을 극복시켜주는 도구다. 과거에는 유리로 만든 렌즈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플라스틱 렌즈를 이용해 가볍다.

    안경은 근시와 원시에 따라 다른 렌즈를 사용해야 한다. 먼저 근시는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보고 먼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경우다.

    수정체가 볼록하거나 수정체에서 망막까지의 거리가 멀어 그사이에 상이 맺히는 경우다. 오목 렌즈로 교정해서 망막에 상이 맺히도록 해 줄 수 있다. 오목렌즈는 빛을 퍼지게 하는 게 특징이다.

    근시 시력을 가진 사람들의 망막은 망막의 앞쪽에 초점이 맺히기 때문에 오목렌즈를 통해 빛을 퍼지도록 해 초점이 보다 뒤로 가게 도와주는 것이다.

    원시는 먼 데 있는 것은 잘 보고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못 보는 것을 말한다. 수정체와 망막 사이의 거리가 짧아서 물체의 상이 망막 뒤에 맺히기 때문에 먼 거리의 물체는 잘 보지만 가까운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것이다. 원시는 볼록렌즈를 이용한다.

    출처 : fn아이포커스(http://www.fneyefocus.com)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근시나 원시가 있으면 망막에 정확하게 초점을 맺을수 없는데, 안경을 이용해서 망막에 정확하게 맺게 해주어 잘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근시의 경우, 망막 앞에 상이 맺히는 것으로 오목렌즈를 사용해서 망막에 맺히게 해서 잘보이게 합니다.

    원시의 경우는 망막 뒤에 상이 맺히는 것으로 볼록렌즈를 사용해서 망막에 맺히게 해서 잘보이게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앞이ㅜ잘 보이지 않는 이유가 상이 망막에ㅜ맺히지 않아 그런것입니다

    안경을 통해 빛을 굴절시켜 상이 망막에 맺히게ㅜ하여 앞을 잘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인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을 쓰면 잘 보이는 이유는 시력이 나쁜 경우 안경을 통해 빛을 굴절시켜 눈에 맞는 초점을 맞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경은 렌즈의 굴절작용을 이용하여 빛을 굴절시키고, 눈에 들어오는 빛의 초점을 맞추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안경은 눈 주위의 근육이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을 막아주어 눈의 피로를 줄여주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은 빛을 굴절시켜서 시력을 보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눈이 잘 보이지 않는 이유는 주로 빛이 제대로 굴절되지 않아서입니다. 눈에서 들어오는 빛은 눈안에 있는 눈구덩이와 수정체, 뿔막 등을 통과하면서 굴절됩니다. 이때 빛이 제대로 굴절되지 않으면, 눈에 찍히는 이미지가 흐릿하거나 왜곡되어 보입니다. 안경은 이러한 굴절을 보정하기 위해 렌즈를 사용합니다. 렌즈는 빛을 적절히 굴절시켜서 눈에 들어오는 빛이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안경을 쓰면 시력이 나빠서 흐릿하게 보이던 것들이 선명하게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경은 근시나 원시와 같은 굴절이상으로 인한 저시력을 극복시켜주는 도구입니다.
    안경은 근시와 원시에 따라 다른 렌즈를 사용해야 하지만, 굴절률을 조정하여 시력교정하는 원리는 동일하다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