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SMSJone
SMSJone

병원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49
기저질환
고혈압
복용중인 약
혈압약

병원을 1차에서 3차까지 구분짓고 나누는 기준은 무엇이며 진료비 차이가 단지 규모 때문에 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25년차 병리과 전문의 장우영 의사입니다.

      병원 등급은 일반적으로 병상수를 기준으로 분류하게 됩니다.

      이는 의료법에 기준하여 의료체계와 관련이 있는 부분인데요.

      크게 의원·병원·종합병원·상급종합병원으로 분류합니다.

      이렇게 분류하는 이유는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병원 운영과

      질 높은 진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병원 등급별 구분 ]

      < 1차 병원 >

      집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어 우리가 자주 이용하는 병원입니다.

      의원, 한의원, 치과

      병상 수 30개 미만

      외래/단기 입원 환자 위주의 진료가 진행

      가벼운 질환이나 치료의 난도가 높지 않은 일상적인 질병에 대한 진료

      < 2차 병원 >

      종합병원입니다.

      병상수 100개 이상

      반드시 침대용 엘리베이터가 설치

      외래/입원 환자 진료

      필수 진료과목과 해당 진료과목을 전속하는 전문의가 있어야 합니다.

      병상수 100개~300개 이하 :

      1.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중 3개 진료과목

      2.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또는 병리과를 포함한 총 7개 이상의 진료과목

      병상수 300개 초과 :

      내과, 외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영상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또는 진단검사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치과를 포함한 9개 이상의 진료과목

      < 3차 병원 >

      대학병원이 해당되며 상급종합병원입니다.

      위급한 환자나 치료 난도가 높은 중증 질환 환자에 대한 치료

      병상수 500개 이상과 모든 진료과목과 전문의를 두어야 합니다.

      다른 1차, 2차 병원과는 달리 3년에 한 번씩 종합 평가를 거쳐

      우수 종합 병원을 선정해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의료법에 의거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하게 되어있습니다.

      이해가 되셨나요? ^_^

      당신의 건강한 삶을 응원합니다 ^_^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병상의 숫자규모등으로 나누는게 가장 일반적입니다. 3차병원 같은경우는 좀 더 세부적인 지표들로 평가를 하긴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병상수와 진료과목의 수에 따라서 1, 2, 3차 의료기관이 구분이 됩니다.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라 진료비도 구분이 되는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병원은 크게 1차, 2차, 3차 병원으로 구분됩니다. 각 등급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1. 병원 등급 구분 기준

      • 의료기관의 종류: 종합병원, 병원, 의원, 한의원 등

      • 병상 수: 30병상 이상, 100병상 이상, 300병상 이상 등

      • 진료 과목 수: 7개 이상, 13개 이상, 24개 이상 등

      • 전문의 수: 5명 이상, 10명 이상, 30명 이상 등

      • 의료기기: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의료기기 보유 여부

      • 전문성: 특정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진료 및 치료 제공 여부

      2. 진료비 차이

      • 진료비는 병원 등급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급이 높을수록 진료비가 비쌉니다.

      • 하지만, 진료비는 병원 등급뿐만 아니라 의료기관의 위치, 의료기기의 종류, 의료진의 경력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 건강보험 적용 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진료비가 책정됩니다.

      3. 각 병원 등급의 특징

      • 1차 병원: 일반적인 질환 진료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 2차 병원: 1차 병원에서 치료가 어려운 질환 진료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 3차 병원: 난치성 질환이나 중증 질환 진료 및 치료를 담당합니다.

    • 병원의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 병원의 규모가 기본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병상수에 따라서 30개 미만은 의원, 30개 이상 100개 미만은 병원, 100개 이상은 종합병원으로 분류합니다. 물론 세부적으로 특정한 진료과가 있어야 하는 등 여러가지 규정들이 있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