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매너있는 여새115
매너있는 여새115

SLR 이 정의가 조금 어렵네요. 자세히 설명부탁드립니다.

요즘 경제에 관심이 많아 뉴스를 자주 챙겨봅니다.

연준의 금리인하 시점을 가늠하는 시기를 보던중 slr이란 용어가 나오는데

어렵네요. 무슨 뜻인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LR은 보충 레버리지 비율을 의미하며 은행이 대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자본을 보유하도록 요구하는 규정입니다. 이 비율은 은행의 총 레버리지 익스포저를 자본 완충액과 비교하여 은행이 자산 대비 부담하는 부채의 양을 측정합니다.

    시장 스트레스나 경제 불안정 시 은행은 잠재적 손실에 대비하기 위해 더 많은 자본을 보유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대출 활동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2021년 3월, 연준은 COVID-19 대유행 동안 대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은행에 대한 SLR 요건을 일시적으로 완화했습니다.

    그러나 2021년 3월 연준은 은행에 대한 SLR 구제책을 2021년 3월 31일 이후로 연장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이로 인해 은행이 SLR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대출 활동을 줄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습니다. 그 결과 일부 시장 참여자들은 연준이 통화 정책을 조정하거나 금융 시장의 원활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지원을 제공해야 할 수도 있다고 추측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supplementary leverage ratio·SLR)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은행에 부여한 자본규제입니다.

    SLR은 총자산 2천500억달러 이상인 미국의 대형은행에 적용되는 레버리지 비율로 총 익스포저 대비 자기자본을 3% 이상 유지하도록 해야합니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가 규모와 상호 연계성, 활동성 등을 고려해 선정하는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글로벌은행(GSIBs)에 선정됐다면 이 비율을 5% 이상 유지해야 하며. 미국의 대형은행 8곳이 해당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SLR이라는 것은 'Supplementary leverage ratio'의 약자로서, 보완적 레버리지 비율이라고 합니다. 이 SLR은 [Tier 1 Capital (은행의 자기자본) / Total leverage exposure(위험 노출액)] 으로 계산됩니다.

    SLR이 적용된 것은 과거 2008년도 금융위기로 인해서 만들어진 것인데, 연결자산이 2,500억달러 이상인 미국의 대형 금융기관들은 이 SLR규제 적용대상이며, SLR규제에 따라서 증가하는 자산에 비례하여 자기자본을 추가적으로 보유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위험노출액이 증가할수록 은행은 그에 맞는 '자기자본'을 더 확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부실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 피해의 여파를 최소화 시키도록 만든 제도적 장치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