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쫌 부탁합니다 DTI LTV DSR
위에 용어들을 설명쫌 부탁드립니다 뉴스나 부동산 경제 관련 뉴스를 관심 있어 자주 보는 편이 이런 용어가 나올때 마다 뭐지 궁금해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어상 공인중개사입니다.
LTV는 주택이 가진 담보가치에 대비한 실제 대출이 가능한 비율을 말합니다. 즉, 주택시세에 비해 얼마나 담보대출을 받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지요. 높을 수록 돈을 많이 빌릴 수가 있겠습니다. 대출기준은 보통은 KB시세를 기준하지요.
DTI는 총 부채 상환 비율인데, 대출자의 연간소득에 대비한 대출상환비율, 즉 원리금과 기타 대출이자 상환 비율을 말합니다.
DSR은 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을 만합니다. 개인의 주택 부채뿐 아니라 신용대출등 다른 부채를 모두 포함한 개념입니다.
이상으로 답변에 갈음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DTI와 DSR은 비슷한 성향의 제재인데 DSR이 조금 더 강력합니다.
개인의 소득에서 대출의 원리금으로 얼마까지 잡아서 대출 해줄지의 규제입니다.
DSR이 대체로 40%일텐데 5000만원 벌면 그중 연 2000만원만 원리금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그정도면 3억을 약 4~5% 금리로 30년 대출 했을때 원리금입니다.
LTV는 집시세의 몇%까지 대출을 해주겠다는 것입니다.
LTV가 50%이면 집 시세가 10억짜리일때 5억까지 해준다는 것입니다.
DSR과 LTV중 낮은걸로 하기 때문에 5000만원 버는 사람이 10억짜리 집을 살때 LTV는 관계없이 DSR 때문에 3억정도 대출이 될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공인중개사입니다.
LTV : 주택담보인정비율로 주택담보가치 대비 대출이 가능한 금액을 말합니다.
DTI : 총부채 상환비율로 대출받은 사람의 연소득대비 대출산환액을 말합니다.
DSR : 총체적인 상환능력 비율을 말합니다. 연간소득을 연간 대출상환액으로 나눈후 100을 곱한 비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