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8.09

기름을 휘발유,경유,등유 와 같이 나누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지구상에서 역대 가장 위대한 에너지 자원이자 유용한 필수적인 자원은 바로 기름입니다. 그런데 이러한 기름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기름을 분류하는 과학적 기준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은 주로 기름의 원료와 사용 용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1. 휘발유: 휘발유는 주로 가솔린이라고도 불리며, 자동차 및 경주용 차량 등에 사용됩니다. 휘발유는 고속도로 및 도시 주행에 적합하며, 높은 연소 효율과 빠른 가동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2. 경유: 경유는 디젤이라고도 불리며, 대형 차량, 트럭, 버스, 기계 및 발전기 등에 사용됩니다. 경유는 휘발유보다 높은 압축비를 가진 디젤 엔진에서 사용되며, 연료 효율성과 토크(회전력)를 강조합니다.

    3. 등유: 등유는 주로 난방, 조명, 산업용 보일러 및 엔진 등에 사용됩니다. 등유는 휘발유나 경유와 달리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엔진 내부에서 연소되지 않고, 대신 외부에서 연소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유전에서 채유한 원유는 각종의 탄화수소와 유도체, 그리고 산소·유황·질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등의 혼합체이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화학적으로 처리하거나 원유의 휘발성의 차이에 따라서 같은 성분끼리 분류하는 편이 편리하다. 그래서 보통 원유성분의 비등점의 차이를 이용하는 분별증류법을 채택한다. 원유를 분류(分溜=分別蒸溜)한 때의 각 유분은 분별하는 방법이나 명칭이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편의상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40∼70°C로 증류한 유분은 석유에테르(石油ether)라고 부른다. 이것은 주로 탄소 수가 5∼6개인 탄화수소로 되어 있다. 70∼120°C의 유분은 석유 벤진(benzine)으로, 탄소수 6∼7개인 탄화수소가 주체를 이룬다.


    120∼150°C의 유분은 리그로인이며 탄소 수 7∼9의 것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다. 이 세 가지는 가솔린 또는 휘발유라고 총칭하며, 가솔린엔진의 연료로 쓰이거나 여러 물질의 용매로 사용된다. 화학공업에서는 이를 나프타(naphtha)라고 부르며, 각종 제품의 원료로 쓴다.


    비등점 150∼300°C의 유분은 등유라고 하며, 탄소수 8∼18인 탄화수소가 주성분으로서, 석유발동기나 제트엔진의 연료로 쓰인다.


    300∼350°C의 것은 경유, 350°C 이상인 것은 중유라고 하며, 디젤엔진 등의 내연기관이나 보일러·각종 노의 연료로 사용된다. 비등점 300°C 이상인 부분 중에서 액체로 된 것을 유동 파라핀, 반고체인 것을 바셀린, 고체인 부분을 파라핀납(paraffin蠟)이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석유공업에서는 이처럼 천연 석유를 분류해서 사용하는 한편 고비등점의 잔류분을 열과 촉매로써 분해하여 이용도가 높은 가솔린으로 만드는 방법도 이용하며, 이러한 제품을 분해 가솔린이라고 한다.


    그리고 400°C 이상에서도 잔류하는 부분은 아스팔트라고 하는데, 점착력·방수성·전기절연성이 높아 도로포장이나 전기절연체 등에 많이 쓰인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유를 정체할때 이러한 종류로 구분,분류하는 기준은 그들의 끓는점(boiling point) 점위에 의해 결정하는데요

    이들은 각각 특정 온도 범위에서 증발하거나 분리된답니다.

    원유를 들여오면 정제를 통해 이러한 용도별 제품과 연료를 만들어 내는데요

    다소 복잡하고 여러 단계로 이루어졌는데..주로, 증류,분리,변환,후처리 단계로 구성됩니다

    증류탑을 통해 원유를 가열하여 각기 다른 끓는 점을 가진 구성물들로 분리하고, 특수한 분리 장비를 활용합니다.

    또한 크래킹등을 통해 좀 더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분자구조를 변경을 하는데..무거운 화합물을 가볍게 변화하기 위해

    열이나 촉매를 사용하는 단계입니다.

    또한, 마지막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용도나 고객이 원하는 명세에 만추기 위해 여러 후처리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종합하면...정확한 분류 및 명칭은 정제 과정, 원유 종류, 그리고 지역별 규제와 수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분류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특정 분자들의 물리적 특성에 기반하여 이루어지며, 연료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등급과

    혼합물이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