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24.03.10

뇌의 수명은 어느 정도인가요?

신체적으로 장기마다도 수명이 다르다고 하던데, 뇌과학적으로 뇌의 수명은 어떤 기준으로 정할 수 있나요? 뇌의 기능은 언제부터 감퇴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의 수명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라 뇌의 기능이 감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뇌의 신경세포가 손상을 입거나 뇌의 구조가 변화하면서 kognitif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노화에 따른 뇌의 기능 감퇴는 30대 후반부터 시작되며, 60대 이후에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기억력, 집중력, 학습능력, 정보처리 속도 등이 감퇴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세포의 수명이라면 세포별로 상이하겠으나

    뇌의 수명은 인간의 삶과 거의 동일해 80년정도 되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의 수명은 뇌세포의 생존과 기능 유지에 관련이 있습니다. 아직까지 과학적으로 뇌세포가 재생된다는 사실이 입증된 예는 없지만, 뇌세포는 손상이 될 경우 회복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 번 죽은 뇌세포는 재생이 불가능합니다.

    국회미래연구원의 전망에 따르면 향후 인간의 수명은 150세까지 연장될 것으로 예상되며, 뇌의 핵심 기능인 인지와 기억 등을 데이터화하는 기술이 가능해질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미래의 인간을 형태적으로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미래에서는 인간의 뇌로 로봇을 조종하는 뇌-컴퓨터 접속 (BMI) 기술이 현실화될 것으로 예측되며, 다양한 형태의 인간이 나타나 유전자를 중심으로 한 가족의 개념이 변화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미래적인 전망은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미리 고민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한국이 앞서서라도 과학기술을 인간 행복을 높이는 용도로만 쓸 수 있도록 제도적인 담론의 장을 열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