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08.03

적금 만기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보통 적금을 들면 만기가 1년으로 되던데

왜 그런건가요? 10년 이상 꾸준히 저축하고

싶은데 상품들이 만기가 다 짧더라고요.

왜 보통 예적금들은 정해진 기간이 짧은건가요?

기간이 짧은 이유와 장기 적금이 없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최현빈 경제전문가
    최현빈 경제전문가
    경제연구소
    22.08.05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첫번째 이유는기간이 길면 소비자들이 가입을 적게하기 때문에

      금융사에서는 만기가 짧은 예적금 상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 두번재는 만기가 길수록 은행이 정해진 금리에 대한 리스크를 떠안아야

      할수도 있기 때문에 10년 짜리 적금은 출시를 하지 않습니다.

    • 소비자 입장에서는 짧은 기간으로 이자를 챙기고 재가입하여

      복리효과를 챙기는 것이 유리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CFP입니다.

    1. 아마도 장기(10년) 상품이 있다면 금리에 대한 변동성(리스크)에 취약할수 있기 때문 아닐까요.

    예를 들어 오랜기간 저금리시대가 되는데 은행에서는 처음 약속한 이자를 지급해야하는 등의 위험이 있는거죠.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예전에 장기주택마련저축은 7년이었지만 지금은 보통 1년에서 길어야 3년정도입니다.이런상품등을 출시할때 금리변동성도 고려을 해야되기떄문이죠. 또한 개인에게도 단기로 회전력을 높이는것이 유리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