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지금도인기많은떡볶이
지금도인기많은떡볶이

수습 후 첫 월급 저축플랜 추천해주세요

성별
여성
나이대
25
직업
직장인
근로형태
근로소득자(4대보험)
결혼여부
미혼
월 수입 현황
430
월 부채 비용
0
월 고정 지출 비용
130
월 가용자금
300
희망 상담 분야
금융상품투자 설계

이번에 수습 땐 월급 받았는데 세후 430 나왔습니다

이제 슬슬 저축해야 할 것 같아서 찾아보는데 추천 많은 청년도약적금은 소득별로 지원금을 잘라서 정부지원금을 못받을거 같더라구요..?

이러면 5년동안 돈 묶이는 메리트가 없을거같아서 다른 적금상품들도 찾아보는 중인데

이 상황이라면 1년 단기 고금리 적금으로 여러개 넣는게 나을까요??

내년에 기숙사 나가야해서 보증금 모으느라 장기적금은 살짝 부담스럽네요ㅠ

고정비용 30 생활비 100정도 사용할 것 같습니다

저축플랜 추천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1년 만기의 고금리 적금과 파킹통장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월 200만원 가량은 적금으로 이자를 확보하고, 나머지는 파킹통장을 활용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습 후 첫 월급을 사용할떄에 남은 돈을 etf 등을 통해 투자를 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또는 대외환경의 불안정성으로 투자가 부담스러울 떄는 단기적으로는 파킹통장에 이체를 하시는 것도 좋고요. 그것이 아니라면 금이나 채권 등의 안전자산에 투자를 하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결국 투자자의 선택이지만, 안전자산을 선택하는 것도 하나의 나쁘지 않은 플랜이라고 생각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자금을

    단기, 중기, 장기적으로 나뉘어서

    금액을 나누어 소액으로 적금 형태로

    모으는 것이 나아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지원금이 없더라도 청년도약계좌는 시중 적금 대비 나쁘지 않은 상품인데요. 다만 빠른 시일내로 보증금 마련이 필요하신 상황이면 장기적금은 애매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고정적인 비용을 제외하면 300만원 가량이 남는데, 비상금(경조금 등)을 일부 제외하고 일단 250만원정도는 저축해보시면 어떨까 싶습니다. 한번에 다 넣지는 마시고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적금 2-3개로 나누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적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430만원의 월급이 나온다고 하면

    보증금 용도로 매월 250만원 정도 적금으로

    단기간인 1년 (3,000만원 만기 금액) 을 목표로 도전해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세후 430만원이라는 높은 금액의 급여를 받으셨고, 고정비로 130만원 정도가 소요되니 매월 300만원의 가용자금이 생긴다고 볼 수 있는데요. 투자에 문외한이라면 최고의 선택지는 단연 1년 고금리(요즘 금리가 그렇게 높지는 않지만) 적금으로 분할해서 가입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꼭 1금융권이 아니더라도 현시점에선 5천만원(9월부터는 1억원)까지 보장받을 수 있으니 2금융권 상품(신협,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등)을 고려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