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9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정화시설은 어떠한 과학적 원리를 품고 작동이 되는 것인가요?

우리는 가정에서 깨끗한 물을 받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 감사한 일인데요.

그렇다면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정화시설은 어떠한 과학적 원리를 품고 작동이 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검붉은코뿔소 34
    검붉은코뿔소 3423.05.21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정화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수 - 혼화 - 응집 - 침전 - 여과 - 염소투입 - 정수 - 배수 등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은 여과 및 염소투입 단계 정도이며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불순물 및 살균 과정을 거칩니다.

    이 모든 과정을 거친 후 수돗물을 통해 각 집으로 공급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화시설은 물의 물리화학적 처리를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물을 정화합니다. 이 과정에는 여러 단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먼저, 첫 번째 단계에서는 그릿 차단기와 같은 기계적인 장치를 사용하여 대형 입자나 고형 물질을 걸러냅니다. 다음으로, 응집과 침전 단계에서는 알루미늄 혹은 철과 같은 응집제를 첨가하여 물질을 응집시킵니다. 응집체가 형성되면 침전이 일어나고, 침전된 물질은 슬러지 형태로 물로부터 분리됩니다. 이후 여과 단계에서는 여과매체를 사용하여 세밀한 입자나 부유물을 제거합니다. 마지막으로, 소독 단계에서는 화학물질이나 자외선 등을 사용하여 남아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거나 불활성화시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폐수가 정화조를 지나가면서 침적물(분뇨)은 가라앉아 처리되고, 나머지는 공설 하수구로 배출된다. 가라앉은 침적물은 혐기성 세균 작용으로 분해된다. 처리가 완료된 침적물인 슬러지가 너무 많이 쌓이면 정상적인 분해가 일어나기 힘들기 때문에 특정 주기마다 분뇨수거차가 와서 슬러지를 펌프질해서 분뇨처리장으로 수거해간다. 최근에는 정화조에 모기떼가 많기 때문에 대형 정화조는 정기적으로 소독을 실시하고 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화시설 내에는 정화처리 방법에 따라 여러 구역으로 나뉩니다.

    우선, 화학적으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곳이 있고 화학적 결합을 통해 불순물들을 무겁게 만들어 침전시킬 수 있게 합니다.
    또한, 생물학적인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방류했을 때 부영양화를 최소화 합니다.

    이 외에도 필터의 역할을 하는 여러 다공성 막이나 구조물을 지나게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화는 기존물에 포함될 오물질을 중화시키는 인체에 무해한 화학제품을 넣어서 정화시키는 겁니다.

    그리고 필터가 있어 이물질을 걸러내구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가정에서 마시고, 씻고,빨래하고 하는 생활용수를 만드는 과정은요..

    우선 물을 땡겨오는 취수원이 있구요..이후 취수장, 차구정,혼화지, 응집,침전지, 여과지, 염소투입실,정수지, 배수지..

    개략적으로 이런 과정을 거치는데 각 과정마다 과학적이고 구체적인 세부 공정이나 부속 과정이 또 있습니다.

    특히, 여과지를 필터링을 하는 공정인데..이때부터는 그냥 마셔도 될 정도로 깨끗하지만..세균 소독을 위해 다음 단계인 염소를 투입하여

    미세하게 남아 있는 세균 소독 과정이 있구요..임시저장하는 정수지,배수지에 저장하여 대기한 다음...각 가정으로 수돗물을 공급하게 됩니다.

    짧은 설명이지만..도움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