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25

물을 어떠한 과학적 원리로 정화하는건가요?

물은 어떠한 과학적원리로 정화는 하는지 궁금합니다 물은 급수도 나누던데 1급수만 마실수 있는물인가요? 총몇등급으로 나누어져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에서 미세한 먼지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먼저 물을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합니다. 불순물을 제거한 물을 탁한 상태에서 놓아두면, 물속에 떠 있는 미세한 불순물이 서서히 침전하게 됩니다. 침전과 협화로 제거하지 못한 미세한 불순물은 여과기를 사용하여 걸러냅니다. 여과기는 모래, 자갈,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에 포함된 세균,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염소, 오존, 자외선 등의 소독제가 사용됩니다.

    물은 일반적으로 1급수, 2급수, 3급수로 분류됩니다. 1급수는 인체에 직접적으로 마셔도 무해한 물이며, 2급수는 일부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지만 마실 수 있는 물이며, 3급수는 산업용 등의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물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과정은 다양한 원리와 기술을 활용합니다. 주요한 물 정화 과정과 원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침전: 침전은 물 속에 떠 있는 미립자, 부유물, 슬러지 등을 입자 크기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화학 물질인 응집제를 사용하여 미립자를 크게 만들어 침전시키거나, 알루미늄 또는 철 등의 물질을 첨가하여 침전 반응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2. 여과: 여과는 미세한 입자나 용질을 거칠게 조직된 여과매체를 통과시켜 분리하는 과정입니다. 여과매체로는 모래, 자갈, 섬유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과 과정은 물 속의 미생물, 오염 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3. 살균 및 소독: 살균 및 소독은 물 속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원충류 등의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불활성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염소, 오존, 자외선 조사 등이 사용됩니다.

    4. 활성탄 여과: 활성탄은 매우 다공성이며 흡착력이 뛰어난 물질로, 물 속에 포함된 유기물, 색소, 냄새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됩니다. 물이 활성탄을 통과함으로써 불순물이 흡착되고 정화된 물이 나오게 됩니다.

    5. 삼투(osmosis) 및 역삼투 여과: 역삼투는 반투과막을 통해 물 분자가 이동하면서 물질을 분리하는 과정입니다. 역삼투를 이용한 역삼투 여과는 고압을 가해 역삼투막을 통과한 물을 정화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염분, 미생물, 유기물 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정화 되는 과정은 필터에 물이 지나가면서 안에 있는 먹으면 안되는 물질들을 걸러 내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정수기는 필터를 두고 높은 압력울 가해서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물을 이동 시키는 역삼투 현상을 통해서 물이 정수가 되어서 먹응수 있는 것입니다. 물은 일반적으로 1-4급까지 나누어지거 1,2등급은 먹을수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