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09

우리나라에 부는 태풍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앞으로도 유소유 뒤로도 유소유입니다.

여름과 가을철에 한두번은 반듯이 우리나라에 태풍이 상륙하여 피해를 많이 끼치는데

우리나라로 올라오는 태풍은 어떻게 만들어져서 한반도를 강타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홀쭉한타킨이
    홀쭉한타킨이23.05.09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받는 에너지가 지역마다 달라 고기압과 저기압이 발생하게 합니다 이때 저기압은 상승 기류를 만들게 됩니다 상승한 공기는 상층으로 올라가 팽창하게 되면서 온도가 낮아져 수증기가 응결되어 구름을 만들고 날씨를 흐리게 만듭니다 특히 열대 지방에서 생긴 저기압은 열대 저기압이라고 부르는데 이 열대 저기압이 발전하면 지상의 바람과 함께 수증기와 열을 대량으로 끌어들이게 됩니다. 이때 수증기와 열이 상승하면서 열대 저기압은 더욱 발전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태풍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의 발생설을 종합해 보면 태풍발생의 온상이 되고 있는 적도전선은 한대전선과는 다르게 양측의 기류 사이에 온도나 수증기 함유량의 차가 적으며, 남양에서는 일반적으로 공기가 고온다습하여 대기는 조건부 불안정의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적란운이 쉽게 발생하여 가끔 강한 스콜(Squall)을 동반합니다. 이 스콜이 처음으로 공기의 작은 소용돌이가 되며, 이것이 수렴기류로 인하여 적도 부근에 모이게 됩니다.


    이 소용돌이가 북동무역풍대의 동풍중에 발생한 수평 파동 때문에 한곳으로 모이게 되면 소용돌이가 크게 된다. 이것이 바로 태풍의 씨앗이다. 이 씨앗이 적도전선에서 기류의 수렴이 강해지면 크게 되어 마침내 태풍이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부는 태풍은 대체로 7월부터 9월 사이에 발생하며 북태평양 서부에서 열대성 저기압이 빈번히 발생하여 북서쪽으로 오다가 남중국해 근교에서 편서풍을 타고 방향을 바꿔 크게 포물선을 그리며 일본이나 대한민국 방향으로 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먼저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고,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회전하는 물결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 구름은 계속 성장하면서 중심부에서는 엄청난 바람이 형성되고, 중앙의 빈 공간에는 폭우와 강력한 폭풍우가 발생합니다. 이렇게 발달한 저기압이 한반도로 북상하는게 그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우리나라의 영향을 끼치는 태풍은 주로 북서태평양에서 형성되며 이 지역의 따뜻한 해류와 고온의 영향을 받습니다.

    바닷물의 온도가 26.5°C 이상이면 증발이 일어나 저기압이 형성됩니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면서 차가워지기 시작합니다. 이 냉각으로 인해 습기가 응결되어 구름이 형성되고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잠열이 폭풍의 성장을 더욱 촉진합니다.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치는 계절은 주로 6월부터 11월까지 태풍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8월부터 9월까지가 성수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