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고문관
고문관21.12.14

임산부 감기증상있으면 감기약복용해도 되나요?

임신 22주차인 와이프가 코감기가 걸렸습니다. 혹시나해서 산부인과에 가서 처방을 받고 약을 탔지만.. 쫌불안해서 약은 되도록 먹지말라고 하는 주변사람들때문에 약을 복용하지 않고있습니다.. 하지만 호전이 되지않아서 약을 먹어야할거같은데.. 태아에게 영향이 가지않을까 조바심이 너무 앞서네요.. 전문가님들의 소중한 답변 부탁드려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감기는 항상 증상 조절입니다.

    열이 나면 타이레놀까지 드시기 바라며, 다른 약은 태아를 위하여 먹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항상 따뜻한 물을마시며 힘드시겠지만 증상 조절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12.16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산부인과에서 주수에 따라 처방가능한 약물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태아에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을 카테고리로 나누어 이상이 있는 약물은 처방을 하지 않습니다. 안심하고 복용하셔도 됩니다.


  • 임산부는 약물 복용을 각별히 주의하여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잘못된 약물 복용이 태아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산부인과에서 괜찮다고 처방을 해주는 약물이라면 카테고리C에 포함되어 안전한 약물이므로 증상이 심하면 그것 자체로 아이에게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시는 것이 낫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산부인과에서 처방받은 약은 복용하셔도 괜찮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임산부의 경우 태아에 영향을 줄수 있기 때문에 사용할수 있는 약이 한정적입니다. 예를 들자면 소염진통제나 스테로이드 같은 약은 금지이나 항히스타민제나 아세트아미노펜은 비교적 안전합니다. 당연히 약을 복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긴 하지만 필요하다면 안전한 약들은 복용하셔도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임신 주수에 따라 임산부에게 처방 가능한 감기약들이 있습니다.

    산부인과에서 처방 받으셨으면 안전하실 것입니다.

    너무 찜찜하시면 안드시는건데, 몸이 힘든 것 보다는 드셔서 낫고 산모가 건강해지는게

    아이에게도 더 좋을 듯 합니다.


  • 감기는 임신 중 가장 흔한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증상 개선을 위한 항히스타민제나 해열진통제가 선천성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은 높지 않습니다. 단, 소염진통제 (비스테로이드성함염증제)를 장기간 투여하거나 임신 28주 이후 투여할 시 조산이나 유산 위험이 증가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진해거담제의 경우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장기간 복용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열진통제 중 타이레놀과 같은 아세트아미노펜은 임신부에게 가장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는 약입니다. 아스피린의 경우 임신 후기 사용시 분만진통이 지연되거나 지연임신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신생아 응고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제의 경우 대부분 기형 부작용이 없어 임부에게 투여 가능하며 특히 클로르페니라민의 경우에는 가장 넓게 사용됩니다.

    단 투약 시작 전 반드시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시어 투약 가능 여부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임신 중에는 약 먹는 것이 참 주저되지요. 그러나 엄마가 아프면 아이도 힘들기 때문에 감기약 정도는 처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산부인과에서 처방을 주셨다면 그나마 산모와 태아에 안전한 약을 주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걱정하지 말고 드셔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