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

물은 왜 얼리면 부피가 팽창하는 건가요?

물은 원래 액체 상태잖아요.

액체 상태의 물을 얼리면 고체가 되면서 얼음이 됩니다.

근데 고체인 얼음이 되면서 부피가 커진다고 하는데 이게 어떤 원리로 부피가 커지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물의 부피에 대한 질문을 종종 답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물리분야의 궁금증을 유발하는 사례라고 생각됩니다. 다시 답변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팽창하는 현상은 물의 분자 구조와 그 구조 변화에 기인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물 분자의 독특한 화학적 특성입니다. 물 분자는 한 개의 산소 원자와 두 개의 수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성으로 인해 V자 형태를 갖게 됩니다. 이 때 산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음전하를, 수소 원자는 부분적으로 양전하를 띄게 됩니다. 이런 전하의 분포로 인해 물 분자 간에는 수소 결합이 형성됩니다. 액체 상태에서는 이 수소 결합들이 끊임없이 형성되었다가 깨지기를 반복합니다.
    그러나 온도가 낮아져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이 수소 결합들이 보다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결정 구조를 형성하게 됩니다. 특히 얼음에서는 물 분자들이 정사각형 격자 모양으로 배열되는데, 이 배열은 액체 상태의 물에서 분자들이 느슨하게 모여 있는 것보다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합니다. 이로 인해 같은 무게의 물이 고체 상태가 될 때 부피가 늘어나게 되고, 이 때문에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커지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물이 얼면 마구잡이로 있던 분자들의 배열이 일정한 배열로 정렬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얼음이 되면 사이사이 빈공간이 생기기도 하죠. 그래서 얼음 상태가 되면 부피가 커집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