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음악 이미지
음악학문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10.05

대안학교는 어떤 특성을 가진 교유기관 인가요?

가까운 지인중에 아이를 '대안학교'라는

교육기관에 보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생소한 대안학교는 어떤 아이가 가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만들어진 종래의 학교교육과는 다른 학교입니다.

    대안교육은 제도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대안적 사회를 구성하면서 새로운 교육을 모색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안학교 중에는 학력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이 후자입니다. 그래서 대안학교를 나온 경우 향후 대학진학을 위해서는 검정고시를 봐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대안학교는 특별한 아이들이 가는 학교는 아닙니다. 초등학교, 중학교는 부모의 교육관이 그 결정의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공교육에 대한 불신 등이 있는 경우 좀더 나은 학교환경을 위해 부모가 보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최근 전인교육 등을 내세우며 예전보다는 좀더 많은 대안학교가 생겨나고 있지만, 공교육 기관이 아닌 대안학교를 보낼 때는 잘 확인하여 그 가치가 오랜 기간 운영을 통해 증명된 곳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0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안학교의 교육과정은 학교장의 학칙으로 정하고있으며 국어와 사회의 총시수의 50%만 이수하면 된다고합니다. 예를 들어 초등 6학년의 국어수업이 204시간이면 102시간이면 되고, 사회가 102시간이면 51시간만 교육과정을 운영하면 된다고합니다. 또한 나머지 교육과정과 수업시수는 학교장이 정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습의 위주보다 몸, 예술, 철학, 공감소통, 자치, 프로젝트라는 교육과정을 목표로 진행한다고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안학교는

    공교육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만들어진 종래의 학교교육과는 다른 학교를 말합니다.

    대안학교의 특징은 ① 작은 학급에 의한 인간성 회복. ② 아동ㆍ학생의 수업계획에의 적극적인 참여. ③ 능력주의ㆍ경쟁주의 원리의 약화. ④ 시민의 광범위한 지원 등으로, 의무교육을 중심으로 한 학교교육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일리치의 탈학교교육론과는 다르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안학교는 초.중등교육법에 따르면 학업을 중단하거나 개인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으려는 학생을 대상으로하여 현장 실습 등 체험 위주의 교육과 인성위주의 교육 또는 개인의 소질과 적성 개발 위주의 교육 등 다양한 교육을 하는 학교라고 합니다. 또한 대한학교는 초,중,고등학교 과정을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안학교는 정규 공교육의 규정을 벗어나 자신들의 가치관에 따라 운영하는 초중고, 대학 교육 과정입니다.

    대안학교를 특성별로 분류하면 생태학교형으로 친환경적인 사고를 중심으로 하는 학교와 종교형으로 종교단체가 지은 학교로 종교를 가진 사람만 학생이나 교사로 받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또 재적응학교형으로 부적응 학생을 대상으로하는 학교이며, 강제 전학 처분을 받은 학생, 한국의 입시 위주 교육에 반발하는 학부모들이 자발해서 보내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규교육 과정을 버거워하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과정을 다양화하여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학교를 의미합니다. 대안학교는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이 아닌 학교 자율적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학교 교육에 부적응한 학생이나 창의적 교육과정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만들어진 학교입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대안학교는 영광성지고등학교입니다. 1990년대 간디학교를 최초 대안학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은데 1997년에 설립된 긴디학교에 비해 1975년 영산선원 부설 중등부를 개설하고 1982년에 고등학교로 설립되는 등 훨씬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