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 공납의 폐단 가운데 방납이란 무엇인가요?
조선시대 백성들이 부담해야 할 조세 가운데, 공납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공납의 폐단 가운데 방납이란 무엇인지 무엇이 문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공납은 가호를 기준으로 토산품을 납부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가호 단위로 납부하다보니 백성들의 부담이 컸습니다. 지역 토산품이 생산되지 않을 경우 다른 상품으로 납부하거나 방납의 폐단이 큰 부담이 되었습니다. 특히 방납은 향리가 상인과 결탁하여 백성들의 납부를 거부하여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즉 향리들의 비리로 백성들의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비리가 컸습니다. 이런 문제로 조광조, 이이 등이 공납을 쌀로 내는 수미법을 주장하기도 했으나 반대 의견이 많아 실제 시행되는데는 광해군 때 경기도 지역에서 대동법으로 처음 새행됩니다.
✅️ 방납은 '공납'을 내지 못하도록 막고, 그보다 더 많은 양을 공납하도록 함으로써 이 사이에서 중간업자(?)가 마진을 챙기던 것이 대표적인 방납의 폐단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