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23.06.14

위가 위산을 견딜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위에서 산을 분비해줘서 소화를 잘 할 수 있게 도와주는데요

여기서 위는 무엇으로 코팅이 되어 있나요?

어떻게 위산에도 괜찮을수가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것처럼 코팅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점막입니다.

    이 점막이 없거나 손상될 경우 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무리 강한 위산도 위 점막은 뚫지 못합니다.

    위 몸통과 위 바닥에 점액을 분비하는 세포가 분포하고 있어 점액을 분비하여 위벽을 위산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추가적으로 HCO3-를 분비하는 세포도 위에 분포하고 있어 점액과 함께 위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위는 위산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위샘에서 뮤신(Mucin)이라는


    물질을 분비하여 스스로를 보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위에서는 강력한 소화작용을 하는 위산과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이 나와 음식물을 소화시키는데, 위에는 위점막이 있어 이러한 위산과 펩신으로부터 위벽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위벽은 점막층으로 되어있는데 이 점막층에서 펩시노겐과 중탄산이온을 분비해 위액의 산성을 중화시겨 위액으로 부터 위를 보호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위의 점막 세포들은 점막생성물을 분비하여 위를 보호합니다. 이 점막생성물은 위의 내벽을 덮어서 위산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고, 위 내벽을 보호하며 염증 반응을 완화시킵니다.


  • 위산은 단백질 소화에 필요하며, 음식물의 소화를 돕고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의 내벽은 위산의 강한 산성 환경에도 견디기 위해 특별한 구조와 코팅으로 보호되어 있습니다. 위 내벽은 두 개의 주요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 내벽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점막 층은 위산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더 두껍고 점액으로 코팅되어 있습니다. 이 점막 층은 역류된 위산이 위의 세포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막아주고 소화 과정에서 자극을 완화합니다.

    위 내벽의 내부에 위치하며, 엽상세포는 위산을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엽상세포는 자체적으로 내부 pH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 위산 생성에 참여하는 동안도 셀프 보호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위 내벽은 정상적인 조건에서도 지속적으로 재생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포 분열과 신규 세포 생성 과정을 통해 손상된 세포가 대체되고 복구되며, 위산으로 인한 손상이 지속적으로 회복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위는 음식물을 분해하기 위해서 위액이 나오는데요. 위액은 소화작용을 하는 위산과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펩신을 내보내서 음식물을 분해하여 소화 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위산은 강한 산성성분이 있어서 위벽이 위산에 노출되면 세포가 파괴될수 있습니다. 그래사 위를 보호하는 것이 위점막인데요. 위 점막은 위벽의 내면을 덮고 있는 두꺼운 점막으로 점액과 중탄산염을 분비해 끈끈한 막을 만들어 위를 보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