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는 박스피던데 다른 나라들은 어떤가요?
한국 증시는 박스피던데 다른 나라들은 어떤가요?
일본이나 대만 중국등 다른 나라들도 한국처럼 박스피가 형성되나요?
한국 증시는 전반적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거의 제자리에서 왔다갔다 하는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의 박스피 현상은 다른 주요국 증시와 비교했을 때 두드러지는 특징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간 코스피 상승률은 82.6%에 그친 반면, 같은 기간 미국 나스닥은 533.7%, 다우존스는 216.7% 상승했습니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도 181.7%, 대만 증시는 174% 상승하여 한국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각국의 경제 구조와 혁신 기업의 등장, 투자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서 비롯됩니다. 한국의 경우 특정 대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신성장 동력을 이끌 혁신 기업의 등장이 부족한 점이 지적됩니다. 또한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 저배당 정책, 주식시장에 대한 신뢰도 부족 등도 한국 증시의 성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이 선진국 중에서 제가 알기론 유일한 박스피 보유국가입니다 답답하죠 전쟁중인 러시아 증시보다도 하락폭이 큰게 코스피죠 이 와중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사이 민주당 의원들이 2025년 금투세 시행을 전제로 보완 법안을 발의한걸로 뉴스가 나오네요
요즘 국내 주식시장은 너무 어렵습니다 저도 수익률이 안좋아서 답답하네요
질문자님은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이나 대만 등은 증시를 보면 박스권에 갇힌 느낌이 아닙니다.
대만의 경우 10년전 약 9000선을 유지하다가 현재는 지속 우상향을 거쳐 23000선을 찍었고, 일본은 18000선에서 현재 39000선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증시는 거의 세계 꼴찌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미국 뿐 아니라 유럽 아시아 모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에도 우리나라만 꼴찌로 향해 가는 거 같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최근 주식시장이 상당한
약세를 보였습니다만
미국, 일본, 대만 등은 최근 증시의
상당한 상승이 있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증시는 박스피인데 다른 나라들은 어떤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 한국 증시는 박스권에 묶여있지만
다른 나라 증시는 잘 우상향 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한국 증시는 최근 몇 년간 '박스피'라는 용어로 불릴 만큼 박스권에서 머무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주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다른 나라 증시 역시 각기 다른 경제 상황에 따라 다양한 흐름을 보입니다.
일본 증시는 아베노믹스 이후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나 저성장과 고령화로 인해 최근에는 박스권 성장을 겪고 있습니다.
대만 증시는 반도체 산업의 강세로 주가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기술주 중심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중국 증시는 정부의 정책 변화와 경제 성장 둔화로 인해 변동성이 큰 모습을 나타냅니다.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과 코로나19로 인한 회복의 불확실성으로 박스권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특히 나스닥 같은 경우는 꾸준히 올라가고 있습니다 다른 것들은 급격하게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가고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처럼 크게 이르게 될 만한 곳은 손절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가 박스피에 머물고 있는 상황은 여러 요인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내부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주가 상승에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비해 일본, 대만, 중국 등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증시는 상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은 아베노믹스 정책 이후 지속적인 경기 회복을 보여주며 상승세를 이어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만과 중국도 각기 다른 동향을 보입니다. 대만은 반도체 산업의 호황 덕분에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으며, 중국은 정부의 정책에 따라 변동성이 크지만 최근에는 경제 회복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각국의 경제 상황과 정책에 따라 증시의 방향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한국 증시가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각국의 경제 구조와 정책 차이에 기인한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