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몸은 왜 전기에 감전되나요??
방금 어느 유튜브에서 전기 이론 강의를 접했는데,
(정확히는 전기 기사 이론입니다.)
참새의 몸도 저항이 높아서 그냥 지나가는 원리라고 하고,
인체의 몸도 저항이 높다고 하는데, 왜 감전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태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도 감전될 수 있습니다.
아마 강의로 접하신 상황은 새가 전기줄 하나에 앉아있는 경우일 것입니다. 이 경우 한 전선 위에 새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보다 상대적으로 저항이 큰 새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만약 새가 두 전기줄 사이에 앉는다면, 즉 한 다리를 전기줄 하나에, 다른 다리를 다른 전기줄 하나에 놓는다면 새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해서 전류가 흐르기 시작합니다.
사람 또한 새처럼 전기줄 하나만 잡는다면 감전이 되지 않습니다만, 만약 두 전선을 같이 잡는다면 전위차가 발생하여 감전될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체 내부에 전해질이 있는데, 이러한 전해질은 전기를 전도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전기가 인체 내부로 흐르면, 전해질이 있는 조직과 세포를 통해 전기가 전달되기 때문에 감전됩니다. 전기가 강하고, 길게 인체를 통과하면 열과 화상, 심한 근육 수축, 혼수 상태, 심부전 등의 심각한 부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기 관련 작업을 할 때는 안전 조치를 취하고 전기 장치를 사용할 때는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몸은 전기가 흐르는 금속 철사나 전선에 닿으면 전기를 전달할 수 있는 전도체입니다. 몸에 전기가 통과되면, 전기의 에너지가 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열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인체 조직이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전기가 인체에 통과하면, 전기의 세기와 시간에 따라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 작은 전류가 몸을 통과할 때는 인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전류의 세기가 강해지면 인체 조직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인체 조직이 손상을 입을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전기저항으로 설명드리면, 이해가 빠르실것 같습니다.
인체의 전기저항은 1,000 옴(Ohm) 정도이며, 흔히 비전도체라고 하는 고무장갑은 10의 7~9승 옴(Ohm) 정도입니다.
따라서, 인체가 전기가 통하지 않을 정도의 전기 저항은 아님을 확인하실 수 있으며, 따라서 보호장구들이 얼마나 높은 전기저항을 갖는지도 확인 하실 수 있으십니다.
궁금증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감전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몸체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지는 현상입니다. 감전 발생 원인으로는 누전되고 있는 외함 또는 충전부에 인체가 접촉되어 대지와 회로가 형성되면 감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은 대부분 물로되어 있도 몸은 여러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몸에는 미세전류가 흐르고 있고
벼락이나 전선을 만지면 순식간에 감전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