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환한슴새70
환한슴새7022.08.09

방수의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물이 흡수되지 못하게 구멍을 좁게 만드는 것인가요? 비닐이 아닌 보통 옷인데도 방수처리를 하면 방수가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영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오는 날이 되면 항상 생각나고 필수적인 방수기능을 가진 의복! 이 원리는 직물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표면처리에 있습니다. 즉, 제작된 직물 조직에 그물눈을 메꿔 물이 직물내에 침입하지 못하게 하는 원리인 발수 코팅입니다. 물은 표면장력이 강해서 표면과 접촉시에는 잘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젖게 되는 것인데, 발수 코팅은 직물 표면을 하나의 막처럼 덮어서 물이 직물내로 스며들지 못하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원리는 비단 옷 뿐만 아니라 여름철 얼굴에 바르는 워터프루프 화장품, 전자제품의 물 흡수를 막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이 위와 같은 원리로 제작되어집니다.

    그러나 거센비나 세탁을 통해서 이 코팅은 손상을 입게 되어 제기능을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이 기술을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된 것이 바로 통기성 방수입니다. 주로 스포츠웨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식으로 이는 세탁 후에도 방수 특성을 유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수는 기본적으로 발수와 가교밀도가 결정짓습니다. 실리콘이나 불소가 발수 능력이 뛰어난 이유가 친수기가 없어서 없어서 그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방수의 원리는 코팅이나 밀폐로 표면을 덮어 물의 침투를 막는 것으로,
    PVC(Poly Vinyl Chloride)와 같은 소재를 사용해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표면 처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부곤 과학전문가입니다.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하나는 말씀하신대로 고분자를 얇게 코팅해서 내부로 침투를 막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번째는 연잎효과 같이 표면의 미세 및 나노구조의 돌기효과를 만들어 표면이 발수 효과를 내어 물이 밖으로 흘러서 떨어지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훈식 박사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물과 친한것 친수성

    물과 안 섞이는 기름과 친한 것 소수성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적인 것이 불소입니다.

    물론 불소는 표면에너지가 낮아서 물과기름이 둘다 반발하는 발액성을 보입니다만, 후라이펜에 이런 불소 코팅을 하면 물과 기름 모두 밀어내는 성질을 가집니다.

    일반적인 재료로는 불소코팅, 실리콘을 들수 있습니다.


  • 방수는 물리적으로 물의 침입을 막습니다.

    보통 PVC(Poly Vinyl Chloride)와 같은 비닐 재질을 이용해 코팅과 밀폐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