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전선에 사용되는 구리는 언제 부터 사용을 하였나요?
우리가 전선에 들어가는 재료중에 구리가 가장 많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구리는 언제부터 사용을 하였고
구리를 대체 할만한 재료도 있는지 궁금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김경욱 전문가입니다.
구리는 약 기우너전 9000년 경부터 인류가 사용했으며, 도구 제작 및 전선용으로는 산업 혁명 이후 본격적으로 활용되었습니다. 구리 대체재로는 가벼운 알루미늄이 전선에 사용되기도 하지만, 구리만큼의 높은 전도성과 내구성을 잧추지는 못합니다. 그래핀과 같은 신소재가 구리 대체 가능성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상용화까지는 여전히 한계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란희 전문가입니다.
구리는 전기적 전도성이 뛰어나 고대부터 금속 도체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19세기 전기화 시대에 널리 보급되었습니다. 구리 대체 재료로는 가벼운 알루미늄이 사용되긴 하지만 전도성과 내구성 면에서 구리가 우수합니다.
고성능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신소재가 연구되고 있지만, 상용화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구리는 전기전도도가 높고 가공성이 뛰어나 전선 재료로 널리 사용되며 고대부터 도구와 무기 제작에 활용된 금속으로 약 기원전 9000년경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습니다. 현대에는 알루미늄이 구리를 대체할 수 있는 주요 재료로 사용되며 특히 경량화가 중요한 송전선이나 항공기 전선에 쓰입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전도성이 낮고 내구성이 약해 구리만큼 보편적이지는 않으며 새로운 대체재로는 탄소 나노튜브와 그래핀 같은 첨단 소재도 연구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