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09.06

해가 쨍쨍해도 비가 올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보통 비오는 날에는 먹구름이 있고 흐려서 해가 많이 가려져 있는데, 간혹 해가 쨍쨍한데 소나기처럼 비가 막 쏟아질 때가 있습니다. 흐림과 맑음 및 비오는건 크게 상관이 없는건가요?

아니면 어떤 과학적인 이유로 그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6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해가 쨍쨍하고 비가 올 수 있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현상들에 기인합니다:

    1. 대기 중의 수증기: 비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됩니다. 해가 쨍쨍한 날에도 대기에는 여전히 수증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온과 습도 조건이 만나면, 높은 고도에서 냉각되어 구름이 형성될 수 있고, 그 결과로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2. 지형 특성: 일부 지형에서는 해안선이나 산악 지대와 같은 특정 지형 요소로 인해 기압 차이와 열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구름 생성과 강수를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가 쨍쨍한 날에도 비가 올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전선파 작용: 해뜰 때 태양 에너지로 인해 지표면은 가열되고, 이 가열된 공간은 주변 공간보다 따뜻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따뜻아진 공간에서 일어나는 상승운동으로 인해 습도를 포함한 대기 중의 물방울들이 상승하여 구름을 형성하고 강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생깁니다.

    4. 기상 조건 변화: 기상 조건은 시간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합니다. 해안 바람, 전선파 작용, 암흑구름 등 여러 요소들이 결합하여 날씨 패턴을 형성하고 변경시킬 수 있습니다. 때때로 예상치 못한 비 소식을 가져올 것입니다.

    위와 같은 요인들로 인해 해가 쨍쨍한 날에도 비가 올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전선은 서로 다른 기온과 습도를 가진 공기 질량들이 만나는 곳입니다. 이러한 전선이 근처로 이동하면, 상승 공기와 함께 습도가 높은 공기가 끌려와 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기 불안정은 대기 상승과 함께 발생하는 현상으로, 상승하는 공기가 높은 고도에서 냉각되면서 수분이 응축되고 구름이 형성됩니다. 이렇게 형성된 구름이 충분한 수분과 상승 기류에 의해 발전하면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지형의 형태에 따라 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산악 지형이나 해안 지역은 공기를 상승시켜 구름이 형성되고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대기 중에는 물자가 존재합니다. 이것은 미세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 물질들이 충돌하거나 응축되면 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조합되어 맑은 날에도 비가 올 수 있으며, 기상 조건은 항상 변화하기 때문에 예측이 어렵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런 비를 여우비라고 합니다.

    구름이 위치한 높은 곳에서 강한 바람이 불어 비가 날리기 때문입니다.

    실제 비구름은 강우지역과 떨어진 곳에 있지만, 강한 바람으로 강우가 가능한 구름입자가 바람에 날려 강우지역에 비로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보통 비오는 날에는 먹구름이 있고 흐려서 해가 많이 가려져 있습니다. 이는 비를 내리는 구름이 태양빛을 가리기 때문입니다. 비를 내리는 구름은 일반적으로 뭉쳐 있는 형태를 하고 있으며, 이 구름은 태양빛을 가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가 내리는 날에는 해가 흐려 보이는 것입니다. 그러나, 간혹 해가 쨍쨍한데 소나기처럼 비가 막 쏟아질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권운이라는 구름이 생성되어 발생하는 것입니다. 권운은 매우 작고 가벼운 구름으로, 태양빛을 가리지 못합니다. 따라서 권운이 생성되면, 해가 쨍쨍한 상태에서도 비가 내릴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한국에서는 여우비 라고 부르고 있는 현상입니다. 영어로는 Sun shower라고 부릅니다. 이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빗방울이 땅으로 떨어지기 전에 비구름이 소멸하거나 다른 곳으로 이동했기 때문인데, 구름이 소멸하거나 이동하는 이유는 대기가 높은 곳에서 강한 돌풍이 몰아치기 때문입니다. 비구름은 멀리 떨어진 곳에 있으나 강한 바람으로 인해 빗방울이 구름이 끼지 않은 맑은 곳까지 배달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일시적인 기상현상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가 쨍쨍한 날에도 비가 올 수 있는 현상은 가능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해질무렵 소나기" 또는 "isolated thunderstorms"라고 알려져 있으며, 지리적, 기상 조건 및 기상학적인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기 불안정성: 대기 내에서 다양한 고온과 저온의 공기 질량이 만날 때 대기가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갑작스런 소나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지형과 지역적 특성: 일부 지역에서는 지형, 지형적 특성 또는 인근의 대기 상태에 따라 갑작스러운 소나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산악 지역이나 바다 근처의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합류선의 형성: 다양한 공기 질량이 만나는 지역에서 합류선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합류선은 대기 불안정성을 증가시키며 갑작스러운 소나기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지구 상의 회전: 지구의 자전과 대류로 인해 대기가 움직이는 패턴도 갑작스러운 소나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지역에서는 해가 쨍쨍한 날에도 비가 갑작스럽게 올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예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날씨 예보를 확인하고 비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우산을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일반적으로 비오는 날에는 먹구름이 있고 흐려서 해가 많이 가려져 있습니다. 이는 구름이 공기 중의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수증기는 공기 중에서 햇빛을 흡수하고, 이로 인해 구름은 어두운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보입니다.

    반면, 해가 쨍쨍한데 소나기처럼 비가 막 쏟아지는 현상은 온난전선기압골이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난전선은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 위에 덮여 있는 경계면을 말하며, 기압골은 고기압과 저기압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구불구불한 기압의 띠를 말합니다.

    온난전선과 기압골이 만나는 지점은 공기의 온도와 습도의 차이가 크며, 이로 인해 구름이 빠르게 발달하고, 비가 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이때 발생하는 비는 일반적인 비보다 강도가 센 소나기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흐림과 맑음 및 비오는 것은 크게 상관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구름의 형성 및 비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