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애기들은보행기를 태우지않는데요 왜그런글까요?
예전에는 뒤집기할때는 다리에 힘도생기고 또안고만 있을수도없어 보행기를태웠는데 요즘 애기들은 보행기를 태우지 않는다고하네요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행기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있는데, 언제나 선택은 부모님이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보통 보행기를 오래 태우면, 아기 다리 근육 발달에 안 좋다고 합니다.
아이 스스로 걷고 균형을 잡고 해야 하는데, 보행기에 의존하게 되면 발달이 더디거나, 근육이 골고루 발달이 안된다는 말도 있습니다.
보행기를 태울 땐 아기의 허리 힘이 완전히 생길 때 태우는 게 아이의 발달이나 안전을 위해서도 나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행기를 오래태우면
아이가 척추가 안좋아 질수도 있다고 해서
요새는 보행기를 태우기보다 자연스럽게
걸음마를 하도록 하는 추세입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행기를 오래태우면 척추에 무리가 간다는 연구결과때문에
보행기를 잘 태우지않는 추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요즘 보행기를 태우지 않는다는 말이 어디서 나왔는지 알수없으나
많은 가정에서 보행기를 태웁니다.
위의 부분에 대해서는 성급한일반화의 오류로 볼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행기를 태운다면 아이들의 근력 등이
약화가 되어 오히려 늦게 걷는 수가 있기 때문에
보행기를 태우지 않는 것이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요즘도 보행기 태우는 가정이 많기는 합니다 ~.
다만, 보행기를 태우는 것이 꺼려지는 이유 중 하나가 까치발로 보행기를 타는 경우가 있는데
아이의 까치발 증상은 발목 긴장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발목 긴장도가 높다면
뇌나 척추의 병변에 의한 것인지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근육의 긴장도가 증가한 아이를 보행기에 태우면 걸음걸이가 이상해 질 수도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