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검붉은코브라279
검붉은코브라27924.04.06

우리나라는 겨울에는 건조하고 여름에는 습도가 높은 이유가 있나요?

유럽 이런곳에 여행가면 계절관계없이 습도가 별로 안 높더라구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사계절따라 습도가 다 달라지는데 무슨차이로 이렇게 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에는 기온이 높고 강수량도 많기 때문에 습도가 높고, 기온이 높아질수록 품을 수 있는 수증기 양은 늘어나게 되는데요. 겨울에는 기온이 낮은 만큼 포화수증기량이 적기 때문에 건조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의 겨울은 북서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와 건조한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로 인해 겨울에는 대기가 건조하고 습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여름에는 남쪽에서 습한 공기가 북상하여 습도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여름철에는 열대 저압대의 영향으로 습도가 높아지고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우리나라 겨울과 여름의 습도 차이는 기단의 영향과 계절별 바다의 역할 때문입니다. 겨울에는 건조하고 차가운 시베리아 기단이 북쪽에서 내려오면서 습도가 낮아집니다. 반면 여름에는 따뜻하고 습한 남쪽 바다에서 오는 공기 덩어리가 남쪽에서 이동하여 습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여름에는 장마철과 같이 바다로부터의 수증기 공급이 증가하여 습도가 더욱 높아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