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물부족 국가라고 이야기하는데 어떤사람은 아니라고 이야기 하는데 어떤것이 맞나요?
우리나라 같은 경우 예전에는 대표적인 물 부족국가라고 해서 물을 아껴써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던데요.
어떤 사람은 잘못 됐다고 이야기 하느넫 어떤것이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물 공급이 너무 잘 되어 있어 물 부족한지 모르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물 부족국가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인데요. 사실 우리나라는 물 부족국가 맞습니다. 여름철에 한정되어 있는 강수량과 바다로 유실되는 물을 보았을때 1년 평균 물부족국가 범위에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국제 기준을 적용하여 인구수에 비해 연간 사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이 적다는 이유로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했습니다. 연평균 강수량 자체는 적지 않지만, 여름철에 비가 집중되고 산지가 많아 빗물이 금방 유출되기 때문에 실제로 활용 가능한 물의 양이 제한적이라는 지리적 특성도 고려되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시각에서는 우리나라의 물 관리 기술과 댐, 저수지 같은 시설을 통해 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공급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물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 부족하지 않다는 점을 들어 '물 부족 국가가 아니다'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즉, 절대적인 물의 양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물을 어떻게 관리하고 분배하느냐의 문제라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어떤 기준이나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다르게 이야기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기후 변화나 가뭄 등으로 인해 물 자원이 불확실해지고 있으며,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서는 물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깨끗하게 관리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물을 아껴 쓰는 습관은 물 부족 국가이든 아니든 우리 모두에게 필요한 자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UN으로부터 물 부족 국가로 지정된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우리나라는 비교적 물이 풍족한 나라입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수자원 대비 1인당 물 사용 비율이 높은 국가 입니다.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물 사용량이 많은 국가 3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물 부족 국가라고 잘못 인식 한것으며, 정확한 표현은 물 부족 가능성 국가입니다.